3.129.69.151
3.129.69.151
close menu
KCI 등재
지원 양육조모의 양육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대처, 양육 행동에 대한 연구 -주 양육모, 부분 양육모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The Study Of Parenting Stress, Social support, Coping, Parental behavior In Partial Caregiving-Grandmothers -Comparing with Caregiving-mothers-
이지연 ( Ji Yeon Lee ) , 김원경 ( Won Kyung Kim ) , 정경미 ( Kyong Mee Chung )
한국노년학 29권 2호 441-458(18pages)
UCI I410-ECN-0102-2012-350-000249594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손자녀의 양육을 지원하는 지원 양육조모의 양육 스트레스와 그의 예언변수들을 탐색하고 이를 양육모집단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낮시간 동안 아동을 돌보는 할머니 152명(지원 양육조모)과 그 아동의 어머니 152명(부분 양육모), 낮시간 동안 아동을 돌보는 어머니 157명(주 양육모)의 양육스트레스, 우울, 양육행동, 스트레스 대처, 사회적 지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지원 양육조모는 주 양육모와 부분 양육모에 비해 유의하게 우울하였으나 양육 스트레스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지원 양육조모는 주 양육모보다 사회적 지지와 문제 중심 대처 능력이 뚜렷이 낮아 스트레스에 가용한 자원이 취약함을 시사하였다. 양육스트레스를 설명하는 예언변수로 양육행동(과잉반응성, 방임성), 스트레스 대처(문제 중심 대처 및 정서 중심 대처), 사회적 지지, 우울의 설명량을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탐색하였다. 지원 양육조모의 양육 스트레스를 설명하는 변수는 과잉 반응성, 우울이었다. 주 양육모도 과잉반응성과 우울이 양육 스트레스의 유의한 예언 변수였고, 정서 중심대처도 예언 변수로 나타났다. 한편, 부분 양육모는 사회적 지지, 우울, 과잉 반응성이 양육 스트레스의 유의한 예언 변수로 나타나 낮시간 양육 집단과는 차이를 보였다. 우울이나 자원의 측면에서 조모 집단과 모집단의 차이를 논의하고, 예언 변수를 중심으로 양육 집단과 비양육 집단의 차이, 조모 집단과 모집단 간의 차이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compared the differences in mechanisms of caregiving stress, depression, parenting behaviors, stress-coping, and social support between caregiving grandmothers and the caregiving mothers. Three caregiving groups were compared; One hundred and fifty-two grandmothers rearing their grandchild as daytime care-giver (partial caregiving-grandmother group), 152 mothers who shared the responsibilities of caregiving the same child (partial caregiving-mother group), and another 157 mothers who rear their child as daytime care-giver (primary caregiving-mother group). Predictors of parental stress for these caregiving groups were also assess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partial caregiving-grandmother group had more depressed than two mother groups,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parental stress among three caregiving groups. In addition, primary caregiving-mothers used more problem-focused coping strategies, and more social support than did partial caregiving-grandmothers. In parental behaviors, partial caregiving-grandmothers significantly had more laxness, less overactive than two mother groups. In the analysis of hierarchical regression, overactivity and depression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parental stress in partial caregiving-grandmothers. On the other hand, depression, social support, and overactivity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parental stress in partial caregiving-mothers. In primary caregiving-mothers, overactivity, depression, and emotion-focused coping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parental stress. We discussed the differences of the predictors in parental stress between grandmothers and mother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