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1.100.34
3.21.100.34
close menu
KCI 등재
한국 장기이식제도의 쟁점과 대안
The Issues and Suggestions of Organ Transplant in Korea
김현철 ( Hyeon Cheol Kim ) , 김휘원 ( Hwi Won Kim )
법학논집 17권 4호 225-251(27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29444

장기이식술은 만성질환자에 대한 최후의 가장 효과적인 치료방법으로 알려져, 장기이식술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크게 증가해 왔다. 그런데 장기의 공급은 그에 미치지 못해 과거 우리나라에서는 장기의 수요와 공급의 극심한 격차로 인해 장기 매매 등의 부작용이 사회 문제화 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정부는 1999년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고 지금까지 여러 차례 개정 과정을 거치면서, 국가 조직으로 장기이식을 담당하는 KONOS를 신설하고 장기 매매를 금지하는 등 이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이어왔다. 그러나 그동안 신체를 훼손하려고 하지 않는 전통 문화의 영향, 효율적인 장기구득 체계의 미비 등의 이유로 장기 기증률은 그다지 높아 지지 않았으며, 뇌사자 기증보다는 생체 기증이 더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2008년 최요삼 선수의 뇌사 후 장기기증이나 2009년 김수환 추기경의 사후 각막 기증 등의 미담 덕분에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는 가운데, 2010년 개정법을 통하여 능동적인 장기구득을 위한 장기구득기관 제도(OPO)를 신설하고 이를 운용하기에 이른다. 그러나 개정법은 뇌사자 장기 구득의 방향을 제시하였지만, 그 동안의 누적된 제도적 현실을 모두 타개할 수는 없었고 현재도 법규범이 제대로 정립되지 않은 상태라고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현실을 극복하기 위하여 2010년 개정법에 따른 장기구득기관제도의 신설에 따른 한국의 장기이식체계가 갖추어야 할 모습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국제적으로 인정되고 있는 장기기증의 원칙들을 알아보고, 장기이식체계에 관한 미국과 영국의 모델을 살펴 보고자 한다. 미국은 민간 중심의 네트워크형의 모델을, 영국은 중앙집중형의 모델을 가지고 있는데 이의 분석을 통하여 한국형의 장기이식 모델이 무엇이어야 하는지를 제시한다. 그리고 이러한 모델이 위와 같은 구조적인 요청에 합당하게 나아가기 위해서는 원칙을 제시하고 그에 합당한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장기이식제도의 정책적 원리로서 공공성의 요청, 윤리성의 요청, 국민 보건의 요청, 효율성의 요청을 제시한다. 이를 바탕으로 기증, 구득, 배분, 정보관리 체계를 재구조화하는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Organ transplantation is known for one of the most successful treatments for terminally ill patients so that the needs for organs have increased explosively since the first transplantation, the kidney transplant from the living donated organ in 1969 and the liver transplant from the brain dead in 1988. Despite donation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transplantation, that is, without donors there is no organ transplantation, rate of organ donation rarely rise because of Korean tradition which never destroy their own body from their ancestors and lack of the effective organ procurement system, and the organ sales erected the serious social problems. To solve them, the government has made efforts to improve the circumstances of organ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through enacting the Organ Transplant Act of 1999, which requires to establish KONOS(Korean Network for Organ Sharing), which works for organ procurement, transplantation and distribution, and explicitly prohibits organ sales. As several revision of this Act and some donation cases such as Boxer Choi, Yo-Sam`s and Cardinal Stephen Kim, Soo-hwan`s donation served to increase the number of the brain dead`s organ donation gradually, the Organ Tansplant Act was revised in 2010 for stimulating public interests for organ donation. This Act in 2010 suggests to establish OPOs which purposes to activate organ procurement by OPOs and to encourage the brain dead donation on the one hand and discourage the living donation on the other hand. This paper aims to build the new framework of Korean organ transplantation system followed by new organ procurement system in the Organ Transplant Act of 2010.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it considers the international principles of organ transplantation and makes an analysis between the network system in U.S.A and the centralized system in England in order to find out the proper organ transplantation system in Korean. Furthermore it gives the principles of public value, respect for donor, protection of public health, and efficiency for transplantation system and reconstructs transplantation system of donation, procurement, distribution and information management, and finally suggests the Donor Ac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