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6.150.175
18.226.150.175
close menu
남자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 문제의 하위 발달경로 확인: 성장모형을 적용한 2년간의 종단연구
Identification of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social withdrawal in male adolescents: A two-year longitudinal study using growth modeling
정경미 ( Kyong Mee Chung ) , 신민정 ( Min Jung Shin ) , 강지현 ( Ji Hyeong Kang ) , 김은성 ( Eun Sung Kim )
UCI I410-ECN-0102-2013-180-002031965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남자 청소년의 사회적 위증 문제의 하위 발달 경로를 확인하고 이를 예측하는 청소년의 기정과 부모 양육행동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경기도 소재 고등학생 602명의 자료를 2년 동안 총 4회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첫 번째 측정에서는 청소년자기행동평가척도(YSR) 중 사회적 위축 척도와, 기질척도 (K-JTCI) 그리고 부모양육태도척도(K-PBI)가 측정되었고, YSR의 사회 척 위축 척도는 4회 모두 측정되었다. 잠재성장곡선모형을 적용한 경과 남자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 문제의 변화는 선형모형이 적합하였으며 변화율의 평균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러나 변화율에 있어서 개인차가 유의미하여 잠재성장혼합모형을 적용 해 사회적 위축 문제의 하위 발달경로를 구분한 결과, 3가지 경로가 확인되었다. 초 기치와 변화율을 고려 하여 각각‘높은 유치’‘낮은 감소’‘낮은 증가’ 경로라고 명명하였다. 이러한 경로에 영향을 미치는 청소년의 기질과 부모 양육행동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희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위험회피 기질과 돌봄 양육방식이 각 경로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청소년의 정신건강 영역으로서 사회적 위축 문제를 이해할 때 종단적인 접근을 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개인의 변화에 따라 집단 내 잠재된 이질성을 확인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한다. 본 연구결과의 시사점과 제한 점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identify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social withdrawal in male adolescents and (2)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emperament and parental behaviors on latent classes. A total of 602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a boys` high school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were assessed four times approximately every eight months over a two-year period. The Parental Bonding Instrument and Junior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12-18 were administered at the fir5t time point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Youth Self Report (K-YSR) withdrawal subscale was administered across all four time points. Results of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LGCM) revealed that the linear model showed a better fit than quadratic model and the slope of the means was not significant. Latent Growth Mixture Modeling (LGMM) identified three latent trajectories; "High Stable,” "Low Decreasing", and "Low Increa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for examination of the impact of temperament and parental behaviors on developmental trajectories. These analyses revealed that "harm avoidance temperaments" and level of "care" in parents were predictived of high risk trajectories. This study demonstrated the need for utilization of longitudinal approaches to undemanding individual differences of social withdrawal behaviors in adolescen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