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8.126.241
18.118.126.241
close menu
KCI 등재
경험논문 : 생식기 기형을 가진 영유아와 모의 심리 사회적 특성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of Infants with Genital Anomalies and Their Caregivers
이지연 ( Ji Yeon Lee ) , 정경미 ( Kyong Mee Chung ) , 한상원 ( Sang Won Han ) , 조상희 ( Sang Hee Jo ) , 정현진 ( Hyun Jin Jung ) , 임영재 ( Young Jae Im )
UCI I410-ECN-0102-2012-530-002254233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생식기 기형의 대표적인 하위유형인 요도하열과 잠복고환 영유아와 양육자의 심리 사회적 특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생후 6~38개월 요도하열(103명), 잠복고환(48명)을 대상으로 생식기 기형과 관련한 걱정과 사건 충격, 수치심을 탐색하였다. 이들을 정상통제군(131명) 양육자와 비교하여 영아의 기질과 양육자의 정신 건강, 양육자의 사회적 지지와 결혼 만족도, 양육 스트레스와 대처기제를 비교하였다. 결과, 요도하열군 모는 ‘배뇨와 신체기능’과 ‘출산 능력’을, 잠복고환 모는 ‘마취에 대한 부담’과 ‘출산 능력’을 가장 걱정하였다. 또 요도하열 모는 임상수준의 심리적 충격을 보고하였다. 정상군과의 비교에서, 요도하열 영아는 정상영아에 비해 부정적 정서가 높았고, 잠복고환 영아는 주의 전환성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요도하열과 잠복고환 모는 정상군 모보다 대인 예민성이 낮았다. 사회적 지지에서 세 집단 간 차이는 없었으나, 잠복고환 모는 정상군 모에 비해 원가족과의 갈등이 적다고 보고하였다. 요도하열과 잠복고환 모는 정상군 모보다 양육 스트레스 중 부모의 고통은 낮았고, 대처 전략을 많이 사용하였다. 양육 스트레스 총점이나 까다로운 자녀, 역기능적 상호작용에서는 집단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과에 대해 임상적 함의와 연구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explored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of infants with genital anomalies (GA) and their caregivers against normal controls. Participants were female caregivers and infants between the ages of 6to38months diagnosed with hypospadias(HS;n=103) or cryptorchidism (CR;n=49). Normalcontrols(n=131) were recruited and selected via Internet. Caregivers completed measures on parenting stress, coping style, social support, and infant temperament. Within the GAgroups, HScaregivers reported their greatest parental concerns as infant urination/bodily functioning difficulties whereas CRcaregivers reported worries related to surgical anesthesia issues. Both groups reported concern about their children`s potential reproductive problems. Per caregiver report, infants with GA had lower ability to self-soothe. HS infants in particular were perceived as exhibiting greater negative emotion. Compared with controls, HS and CRcaregivers overall employed coping strategies more frequently and had lower interpersonal sensitivity and parental distress. However, HScaregivers emerged as experiencing higher stress when compared to the CRgroup.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o tal parenting stress and social support scores between groups. Further, CRcaregivers reported lower levels of family discord than controls. Despite temperament-related differences between infants with GA and normal controls, HS and CRcaregivers reported lower parental distress and greater use of coping skills as compared to controls. Clin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