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197.108.187
44.197.108.187
close menu
KCI 등재
우리 특허법상 ‘발명’의 개념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Definition for Invention in the Korean Patent Act
박준석 ( Jun Seok Park )
UCI I410-ECN-0102-2014-300-002054524

종전까지 특허법 서두의 장식적 규범에 불과하였던 ‘발명’의 정의는 컴퓨터프로그램이나 생명공학 산물이 출원되기 시작한 이래 어떤 면에서는 진보성 문제 이상으로 중요한 쟁점이 되었다. 컴퓨터프로그램 등을 발명의 개념 안에 세계 최초로 포섭한 뒤 그런 태도를 따른 것을 다른 국가들에도 요구하였던 미국과는 달리, 한국의 입장에서는 미국 등 선진제국에 의한 외압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롭지 않기 때문에 우리의 발명 개념을 정립하는데 일정부분 수동성이 존재한다. 이와 관련하여 2010년 Bilski 판결과 2013년 Myriad 판결에 의해 미국은 종전보다 발명의 개념을 다소 축소한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 등 외국에서 발명을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지 정확히 파악한 뒤 그들과 정당하게 협상하는 한편 한국 사정에 가장 부합한 발명 개념을 스스로 정립해나가는 노력이 현재 절실하다. 이 글에서는 “자연법칙을 이용한 기술적 사상의 창작으로서 고도한 것”이라고 발명을 정의내리고 있는 한국 특허법 제2조 제1호의 여러 문제점을 차례로 고찰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발명에 해당하는지 여부와 발명이 완성되었는지 여부는 서로 판단의 성질이 상이한 것임에도 ‘발명의 성립성’이란 상위개념을 통하여 이것 들을 하나로 묶는 것은 심각한 혼란만 초래한다고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자연법칙에 일응 어긋나는 기재를 담은 출원이더라도 발명이 아니라면서 배척할 것은 아니라고 고찰함에 있어 종전의 논쟁과 전혀 다른 시각에서 접근하였다. 나아가, 제2조 제1호의 위와 같은 문구 중 ‘고도한 것’이란 표현은 법체계상의 혼란만 가져오므로 삭제되어야 마땅하다는 점, ‘창작’이란 문구는 저작권법상 핵심개념을 가리키는 동일한 문구와 혼동될 수 있으므로 다른 표현으로 치환함이 합리적이라는 점을 각각 논증하였다. 이 글의 나머지 부분은 제2조 제1호의 전부, 혹은 적어도 ‘자연법칙의 이용’이란 문구를 삭제하자는 일본과 한국에서의 유력설을 소개한 다음 그런 주장이 부당함을 밝히는데 집중하였다. 그것을 위하여, 위 조항의 유래를 한국, 일본, 독일 순으로 역으로 거슬러 올라가 추적하는 한편 그것들과 전혀 다른 시각에서 바라보고 있는 미국의 상황을 비교하는 방법으로 고찰을 진행하였다. 우리가 거의 그대로 추종한 일본 특허법 제2조 제1항은 19세기 독일 법학자 Kohler의 학설상 정의를 수용한 것 이었다. 원래 그의 정의에서 중시되었던 발명의 ‘기술적 속성’이란 특징이 그 이후 지금까지 독일에서는 발명이기 위한 가장 중요한 요건으로 취급되고 있다. 한편 독일에서는 ‘발견’을 일단 발명에서 제외될 대상으로 정하면서도 독일 특허법 제1조 제4항이 명시한 대로 ‘발견 그 자체’가 아닌 경우라면 기술적 속성이 인정되어 발명으로 취급될 수 있다는 태도를 취하고 있다. 이런 독일의 태도는 유럽연합에까지 수용되었다. 반면 미국에서는 특허법의 명문 규정으로 ‘발견’도 발명의 개념에 포섭됨을 일응 긍정하고 있지만 판례법은 자연법칙, 자연현상, 추상적 아이디어 등 3가지는 발명의 개념에서 제외한다는 ‘자연법칙 예외’ 이론을 해석상 기준으로 확고하게 수립하여 왔다. 이처럼 ‘발견은 발명인가’라는 중요한 질문에 대한 첫 대답으로 독일?유럽연합은‘아니오’로, 미국은 ‘예’라고 각각 답하여 완전히 상반된 접근방식을 취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특정 출원대상이 발명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함에 있어 (독일?유럽연합에서는) 그것이 기술적 속성을 가져 여전히 발명의 원칙적 형태에 속하는지를 가리는데, (미국에서는) 그것이 자연법칙이라는 예외적 대상인지를 가리는데 각각 가장 중점을 두고 있어, 결국 ‘원칙’ 내지 ‘예외’라는 상반된 측면에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 이렇게 독일 등과 미국이 서로 상반된 시각을 가지고 발명 개념을 정립하고 있음에도 일본의 저명학자들은 이 점을 간과하고 독일의 사고방식을 가지고 미국의 동향을 이해하려 하였다. 당장 미국의 급증하는 영향력에 슬기롭게 대처하기를 바란다면 한국의 논의에서 그런 잘못을 반복해서는 안 된다. 이 글의 종반부에서는 한국의 발명 정의조항 중 ‘자연법칙의 이용’ 부분은 삭제되기보다 그대로 유지되어야 타당함을 논증하였다. ① 이 부분 문구는 미국에서는 물론 독일?유럽연합에서조차 거의 동일한 문구가 기술적 속성의 핵심요소로 인정되고 있어 현재 발명 개념에 있어 보편적 요소인 점, ② 독일?유럽연합이 채용한 ‘기술적 속성’으로 모든 발명을 통합하여 설명할 수 있었던 19세기 산업화 과정의 시점에서와 달리, 산업화가 이미 완성된 현대에 새롭게 등장한 컴퓨터프로그램이나 생명공학 산물 등이 발명에 해당하는지 판단할 기준으로는 미국에서 채택된 ‘자연법칙 예외’ 기준이 휠씬 유용하고 간명하다는 점 등을 그 근거로 한다. 마찬가지로 한국의 발명 정의조항 중 ‘기술적 사상’ 부분도 역시 유지되어야 타당하다고 분석하였다. ① 이 부분은 통합적 기준이라는, 함부로 버리기 힘든, 장점이 있는 점, ② 미술품 같은 저작물과 구별되는 특허 발명 본연의 성격을 잘 드러낸다는 점 등 때문이다.

The definition for an invention has become a hotter issue than non-obvious issue in some aspect since the prosecution for computer program and biotechnology products did begin even though the definition had been just a decorative norm occupying the front of each country`s patent law. Unlike the United States that recognized the computer programs as one of inventions first in the world and has forced other countries to adopt the same attitude, Korea has inevitably a kind of passivity in establishing its definition for an invention as far as it is not free of the external pressure from much more develop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etc. In this regard,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U.S. has recently shrunk by U.S. Supreme Court decisions in Bilski case (2010) & Myriad case (2013). In this situation, sincere effort is urgently needed to establish Korean own definition for an invention which should be suitable for our own situation while properly negotiating with the United States and other foreign countries after correctly identifying of how they define an invention in their patent laws. This article tries to capture several problems one by one which are found in Article 2, paragraph 1 in the Korean Patent Act where an invention is defined as “the highly advanced creation of a technical idea using the law of nature.” First, since there are big differences in nature between to determine whether something can belong to an invention and to determine whether an invention is not uncompleted, tying those two determinations together under one superordinate concept as so-called the invention establishment requirement has caused just huge confusion. Next, by taking quite different approach from the previous ones, this article shows that it is not reasonable to reject an application on the ground of non-invention even though such application includes a description in the specification contrary to the laws of nature. Furthermore, among the phrases in Article 2, Paragraph 1, the word “highly advanced” should be deleted in the amendment because the word just invites contextual confusion in patent law system, and the word “creation” should be substituted with more appropriate word since the ‘creation’ shall be confused with the same phrase as the most important concept in copyright law. The rest of this article focuses on revealing unreasonableness of the seemingly plausible argument in Japan & Korea which suggest that the whole definition for an invention in Article 2 of each Patent Act or at least the phrase “using the law of nature” should be deleted, after this article take a whole view of such arguments. For such purpose, this article traces backwards the origin of the Article 2, Paragraph 1 in the Korean Patent Act from Korea thorough Japan to Germany while comparing the situations in those countries with that in U.S. where a totally different perspective has been adopted. Article 2, Section 1 in the Japanese Patent Act which was deadly followed by the Korean Patent Act is the result from that Japanese legislators adopted the theoretical definition for an invention by Kohler, a 19th century German jurist. The technical character in an invention which was given emphasis on by the original definition of Kohler has become the most important requirement of an invention in Germany so far. One the one hand, in Germany, ‘discovery’ is defined as one of several objects which should be excluded from the scope of invention while some discovery still would be treated as an invention if it is not ‘discovery itself’ as provided in the German Patent Act, Article 1, Section 4 and has the technical character. This attitude of Germany has been followed by European Union in almost same manner. On the other hand, in the United States, the Patent Act expressly provides that ‘discovery’ will tentatively fall under the definition of an invention while U.S. case law has firmly built up an interpretational principle, the law of nature exception saying that the law of nature, natural phenomena and abstract ideas should be excluded from the definition of an invention. As see above, Germany & EU and the United States are taking completely opposite approaches in giving the first answer as NO (in Germany & European Union) or Yes (in the United States) to the important question ‘a discovery can be an invention?’ Also, Germany & EU and the United States tend to concentrate their each attention on opposite sides in determining whether a particular application could be an invention: such application could still fall under the original form of an invention which should have technical character (in Germany & European Union), and such application could now fall under the exceptional object such as the law of nature (in the United States). Famous Japanese scholars did overlook this important point that Germany & EU and the United States has built up their each definition for an invention from opposite legal perspectives, and the Japanese scholars made a mistake by interpreting the related situation in U.S. with the German perspective. Such a mistake should not be repeated by the Korean scholars if we really want to respond wisely the surging impact of U.S. patent law in Korea. In the last part of this article, it will be demonstrated that the phrase “using the law of nature” in the Korean Patent Act, Article 2, Paragraph 1 should be rather maintained than deleted in the amendment because of the following reasons: first, this phrase is now recognized as a universal element of an invention not only in the United States but also in Germany & EU where the almost similar phrase is essential part of the technical character. Second, than the standard of the technical character from Germany & EU, the standard of law of nature exception from U.S. is better and easier to apply in fully industrialized society today when controversial new applications such as computer software and biotechnology production come on, differently than in the industrializing society in 19th century when all application doubtlessly had the technical character. Likewise, the remaining phrase “a technical idea” in the Korean Patent Act, Article 2, Paragraph 1 should be also rather maintained than deleted in the amendment because of the following reasons: first, this part is a unified standard for any invention and this advantage is not ignorable. Second, it well exposes inherent nature of any invention which is clearly distinct from works of ar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