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9.82.167
13.59.82.167
close menu
KCI 등재
조선시대 한글장편소설에 구현된 가상세계로서의 역사
The historical fictional world embodied in the full-length novels in Hangeul of Joseon
이지영 ( Yi¸ Jiyoung )
고소설연구 50권 111-137(27pages)
DOI 10.23836/kornov.2020.50.111
UCI I410-ECN-0102-2022-800-000245670

조선시대 한글장편소설은 중국의 역사적 과거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작품에 따라 역사적 사건이 소설의 서사와 긴밀히 연관되는 경우부터 소설의 내용이 역사적 사실과 거의 무관한 경우까지 다양한 스펙트럼을 보이지만, 서사의 중심이 역사적 사건보다는 집안 구성원간의 갈등에 있다는 점에서는 공통점을 보인다. 또한 한글장편소설이 수용한 '역사'는 연의소설 등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에서 역사서와는 그 의미가 다르다. 한글장편소설의 주향유층은 역사서가 아닌 연의소설을 통해서 역사를 학습했기에, 한문 식자층과는 역사 인식이 달랐다. 이들은 연의소설에 서술된 허구를 역사적 사실과 구별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으며, 역사적 사건보다는 등장인물 간의 갈등에 더 관심을 보인다. 한글장편소설 향유층에게 '역사'는 흥미로운 이야기를 펼칠 수 있는 허구적 공간으로 존재했다. 이 점에서 역사적 과거를 배경으로 한 조선시대 한글장편소설은 오늘날 픽션 사극과 상응한다. 조선시대 한글장편소설에서 '역사'를 통해서 구축된 가상세계(fictional world)는 가문을 중심으로 한 인물구도와 함께 연작과 파생작 등 새로운 이야기를 생성하는 장이었다.

The full-length novels in Hangeul of Joseon set in Chinese historical past. The way of fictionalizing history varies depending on the work. There are some novels in which historical events are closely related to the narrative of the novel, while in many novels historical events have nothing to do with the narrative of the novels. But in common these novels focus on conflicts among family members and the meaning of history is different from that of a history book. Readers of the full-length novels in Hangeul who learned history through historical novels, had a different understanding on history from the intellectuals. They did not distinguish historical facts from fictional narrative and more were interested in the conflict of characters than in historical events. To readers of full-length novels in Hangeul, history was a fictional world in which interesting stories unfolded. In this regard, full-length novels in Hangeul of Joseon correspond to the fictional historical dramas of today. The historical fictional world of Joseon's full-length novels in Hangeul was a space in which new story like derivative novels and series novels is created.

1. 서론
2. 한글장편소설에 수용된 ‘역사’의 스펙트럼
3. 한글장편소설 향유층의 역사 인식
4. 역사적 가상세계의 이야기 생성
5.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