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3.244.83
3.143.244.83
close menu
KCI 등재
유아의 운동발달 수준에 따른 움직임 패턴의 관계 연구: 누운 자세에서 일어서기(Supine to Standing) 과제 중심으로
A Comparison of Movement Patterns Based on Developmental Level in Children: In the Perspective of Supine to Standing Task
박유나 ( Una Park ) , 송영훈 ( Young-hoon Song )
UCI I410-ECN-0102-2021-600-000424324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누운 자세에서 일어서기(supine to standing: STS) 과제 수행 시 유아의 운동발달 수준에 따른 움직임 패턴의 차이점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만 4-6세 유아 89명에게 운동발달검사(MABC-2)를 실시한 후 목적적 표집방법을 통해 선정된 20명의 유아들을 운동발달 수준에 따라 각각 운동발달 상(n=9)집단과 하(n=11)집단으로 배정되었다. 연구대상자들은 누운 자세에서 일어서기 과제를 ‘최대한 빨리 일어나세요.’라는 지시어를 듣고 10회 반복하여 수행하였다. 이때 나타난 유아들의 움직임은 VanSant의 움직임 패턴 발달순서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누운 자세에서 일어서기 과제 수행 시 소요된 시간과 유아가 사용한 움직임 패턴에서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특히, 상지와 체간에서 더 큰 차이를 보였다. 운동발달 상집단에서는 전체적으로 대칭적인 움직임 패턴이, 하집단에서는 비대칭적인 움직임 패턴이 나타났으며, 이는 운동발달 상집단이 하집단보다 상위의 움직임 전략을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누운 자세에서 일어서기 과제의 수행시간도 운동발달 상집단보다 하집단에서 더 길게 소요되었다. 또한, 운동발달평가 점수와 움직임 패턴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운동발달 평가점수와 신체 부분(상지, 체간, 하지) 간에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더 세밀한 운동발달 검사가 필요한 아동들을 보다 쉽고 간편하게 선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그리고 기존의 운동발달 평가도구들이 가지고 있는 시공간적 제한점을 보완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실제 교육현장이나 운동발달 연구 영역에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different pattern of movement in children aged between 4-6 regarding to their motor development level. Twenty participants were selected and ranked into a high(n=9) or low(n=11) group based on MABC-2 score. Participants were asked to lie down on the mat and stand up on the signal “Go” as quickly as possible. Each trial repeated for ten times total. We analyzed body movement(upper extremity, axial region, lower extremity) pattern and measured total task time.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ovement time getting up from the supine posture and the movement pattern between high and low groups. Upper extremity (UE) show greater difference rather than the lower extremity (LE) and axial region (AX). The high ranked group used symmetrical movement pattern to get up, whereas most participants from the low group showed asymmetrical movement pattern. The high ranked group could perform more advanced level of movement pattern and took less time to get up overall. In addition,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MABC-2 total score(%) and the movement patterns from UE, AX and LE regions. In conclusion, the STS task will be a useful tool to assess children motor development levels. Also, STS task can be usefully applied in education field.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