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7.81.240
18.117.81.240
close menu
KCI 등재
뉴로피드백 게임이 ADHD 경향 청소년의 주의집중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Neurofeedback Implemented game on Adolescents with ADHD
공마리아 ( Kong Maria ) , 김정임 ( Kim Jung-yim )
아동교육 28권 4호 79-97(19pages)
DOI 10.17643/KJCE.2019.28.4.05
UCI I410-ECN-0102-2021-300-000095160

본 연구는 뉴로피드백 활용 게임이 ADHD성향 청소년의 주의집중에 대한 연구로 대상은 J시의 청소년 회복센터 내에 거주하는 청소년들이다. 이에 연구대상자들인 참여청소년들과 기관의 동의를 얻어 이들 8명의 청소년들에게 2019년 3월부터 6월말까지 주 1회씩, 매회기 45분간 총 15회기동안 뉴로피드백 게임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주의집중력 증진을 위한 마인드레이스 게임 프로그램이 장착된 노트북과 뇌파연결을 위한 헤드셋을 준비하여 뉴로피드백 게임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FAIR 검사를 측정도구로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비모수 검정인 윌콕슨 부호순위검정으로 사전·사후점수를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Prochaska와 Norcross(2002)의 초이론적 모델을 활용하여 회기 과정에 따른 참여청소년들의 주의력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뉴로피드백 게임은 ADHD성향 청소년의 주의력(선택능력지수 P, 품질통제지수 Q, 지속성지수 C)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뉴로피드백 게임이 ADHD경향청소년의 주의집중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입증하였음에 의의를 가진다.

The study of was to analyzed effect of neurofeedback implement game on adolescents with ADHD. The study is a group of adolescents that resided in recovery centers at J city. With the consents of the participants and the institutions, 8 adolescents finally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from March through June 2019. 15 sessions were conducted, and each session took 45 minutes of neurofeedback game program. Each lap tops had mind race game programs installed to improve attention and focus levels, and there were head phones prepared to connect and measure brain waves of the participants. The assessment tool was FAIR, and data analysis was Wilcoxon signed-rank test, a nonparametric test, that compared pre-, and post scores. Also, Prochaska & Norcross (2002)’s Transtheoretical Model has been implemented to observe the participating adolescents’ attention changing due to the process of session. As a result, the neurofeedback game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ADHD adolescents’ focus and attention level improvement (decision capability index P, quality control index Q, durability index C). As a result, the study has empirically proven that the neurofeedback game has positively affected the ADHD adolescents’ focus and attention level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부록
참고 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