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8.184.214
18.218.184.214
close menu
아펠의 담론윤리학의 정초주의적 논증 구조에 대한 비판적 분석
A Critical Analysis of Foundationalist Arguments in Apel’s Discourse Ethic
정태창 ( Jung Tae-chang )
윤리학 5권 1호 75-98(24pages)
UCI I410-ECN-0102-2021-100-000329698

본 논문은 아펠의 담론윤리학의 정초주의적 기획을 다음의 세 가지 논점에 따라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첫째로, ‘왜 도덕적이어야 하는가’라는 물음을 선험화용론적 반성을 통해 최종적으로 해소하려는 아펠의 시도는 충분한 답변이 되지 못하며, 과연 이러한 물음이 철학적 논증을 통해서 해소될 수 있는지 불분명하다는 점에서 보완될 필요가 있어 보인다. 둘째로, 논증이 가능하기 위해 필연적으로 전제되는 보편타당한 도덕 규범들이 선험화용론적 반성을 통해 발견될 수 있다는 아펠의 주장은 목적 합리적 규칙과 도덕 규범을 혼동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리고 더 나아가 왜 다른 조건들이 아닌 이러한 가능조건인가의 물음에 대답하기 위해 느슨한 형태의 철학적 반성에 기대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화용론적 모순의 개념에 기초한 논증은 그것을 개입시키지 않는 형태의 논증으로 변형될 수 있다는 점에서 알버트가 제시한 뮌히하우젠의 트릴렘마를 피해나갈 수 있는지 확실하지 않다. 셋째로, 논증 참여자들의 만장일치의 이성적 합의에 의해 타당한 도덕 규범을 산출하고 정당화할 수 있다는 아펠의 주장은 과학 공동체의 진리 주장에 실천적 문제에 대해 반성하는 의사소통공동체의 모델을 무리하게 동화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원리적으로 실현가능성의 문제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분석한다. 아펠의 정초주의적 기획에 대한 본 논문의 이러한 비판적 분석은 타당하다면 오늘날 선험화용론의 논증 논리에 따라 정초주의의 기획을 전개하는 입장에 대해 재고해볼 여지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criticizes the foundationalist arguments of Apel’s discourse ethic in three points. Firstly, Apel’s attempt to dissolve the question ‘Why be moral’ by a transcendental-pragmatic reflection is not successful, since it is not clear whether this kind of existential question can be answered by philosophical argument. Secondly, Apel’s argument that universally valid moral norms as indispensable preposition in communicative praxis can be discovered by transcendental-pragmatic reflection is flawed because it is based on a confustion of purposive-rational rules and moral norms. Moreover, Apel can answer the question ‘Why these presuppostions, not others?’ only by appealing to a kind of philosophilcal reflection which is not strict enough to vindicate a claim of necessary truth. Apel refutes Albert’s anti-foundatinalist argument is based on pragmatic contradiction by the concept of pragmatic contradiction. But since it is possible to transform Apel’s argument to one which is not based on the concept of pragmatic contradiction, it is not clear whether his position really overcomes Albert’s munchhausen trilemma. Thirdly, Apel’s claim that a unanimous rational agreement by participants of discource can construct and justify valid moral norms is flawed with unrealizability because it assimilates the model of communicative community aimed at reflection on practical problems to scientist community reflecting on truth claim. These critical assessments can give, if valid, a reason to reconsider the foundationalist project based on the logic of transcendental pragmatics.

1. 서론
2. 아펠의 선험화용론에 의한 규범성의 최종 정초 논증
3. 아펠의 선험화용론에서 ‘기초적 믿음’의 최종 정당화 문제
4. 아펠의 담론윤리학에서의 ‘비기초적 믿음’의 정당화 문제
5.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