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172.115
3.144.172.115
close menu
KCI 등재
우인규(禹仁圭)의 『애감록(哀感錄)』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U, Ingyu`s(禹仁圭1896∼1961) Aegamrok (『哀感錄』)
이상주 ( Lee Sang-ju )
온지학회 2017.01
온지논총 50권 35-93(59pages)
DOI 10.16900/ONJI.2017.50.02.035
UCI I410-ECN-0102-2018-800-000469555

禹仁圭(1896∼1961)의 『哀感錄』은 그의 할머니 寧越嚴氏(1850∼1918)가별세한 1918년 음력 7월 18일부터 1920년 10월 5일 吉祭를 지낼 때까지의 전과정을 天·地·人3책에 기록한 `寧越嚴氏三年喪綜合報告日誌`이다. 喪에 관한 기록은 대개 哀感錄, 弔客錄, 弔慰錄, 賻儀錄, 賻奠錄등으로 이름을 붙여 각각의 독립된 책으로 엮는다. 그런데 우인규의 『애감록』은 이들 책에 수록하는 내용을 한 군데 모아 기록했다. 즉 조문객의 성명, 조문객의 거주지, 부의품 내역을 기술했다. 그리고 고사문과 축문, 조문객이가져오거나 멀리서 보내온 慰狀과 ?를 받은 날짜에 기술했다. 이런 유형의 『애감록』은 드문 사례로, 輓詞는 26편이다. 尉狀類는 총 59편이 보인다. 본고에서는 李恒老문인 계열 인물들이 보낸 만장, 위장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그 이유는 그 시대 당연한 관행이지만 만사를 통해 교유인사들과 우의를 돈독히하는 실상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그들의 만장과 위장을 통해 1900대 초 그 특징의 일면을 고찰할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輓詞에는 일반적으로 어진 사람은 장수를 누린다는 점을 표현했다. 이는 오랜 세월 전해오는 儒敎的思惟이다. 慰狀은 正格形慰狀과 破格形慰狀으로 나눌 수 있다. 正格形慰狀은 상을 당한 사람에게 보내는 보편적 의례적인 내용을 담았다. 즉 먼저 예의를 갖추어 장례를 잘 모시라 권고한다. 그리고 너무 상심하여 건강을 잃지 않도록 조심하고 고기를 먹지못하니 채식위주의 식사 즉 疏食이라도 잘 하여 건강을 유지하고 다른 날業을 잘 이루기를 요망하고 있다. 正格形위장은 송소용과 박세화의 손자박면기가 지은 慰狀을 살펴봤다. 그들은 정통 도학자답게 전형적인 위장의 형식 즉 正格形을 지켰다. 破格形慰狀은 전통적인 기본적인 위장의 형식을 파괴해서 지은 것이다. 원대규는 `破格慰狀`이라 제목을 붙였다. 즉집에서 어린아이의 재롱을 바라보는 즐거워하는 자신의 심회를 위장에 기술하여 우현정의 참담한 심정이 상쇄되도록 했다. 아울러 이 책에 제문류로 14편이 있다. 1920년 大祥때 며느리, 손자와 손자며느리들이 지은 제문 10편을 분석했다. 며느리와 손자며느리들이 작성한 제문도 보기 드물기 때문이다. 직계 후손이 10여명이 그 내용적 특징을 다음과 같다. 먼저 亡人엄씨가 어질고 善했는데 더 장수하지 못한 점을 애석해하는 내용을 기술했다. 다음 엄씨가 五倫行實圖로 훈육하여 자손들이 淸淑한 家風을 지키게 했다고 은덕을 찬양했다. 잊지 못하는 감정을 제문을 짓고 제수를 차려 올린다는 내용으로 마무리했다. 엄씨의 자질과 행자와 자애심이 옛날 사람들에 뒤지지 않는다고 비교하여 찬양했다. 그리고 죽음을 표현하는 말로 `玉樓` `仙化` `仙枰` `?宿이 빛을 잃다`는 등의 故事를 사용하여 비유적 표현미도 살렸다고 볼 수 있다. 내용서술구조에서 도입부 전개부 종결부 등 기본적인 서술전개방법을 적용했다. `嗚呼慟哉`를 세 번 정도 반복 사용하여 悲痛感을 고조시켰다. 『애감록』에 총 15건의 饌圖즉 祭需陳列圖가 그려져 있다. 개인의 저술에 그 정도의 祭饌圖가 수록된 사례도 드물며 제수의 종류도 그 정도로 많은 사례도 드믄 듯하다. 한편 이를 재현하여 祭需飮食교육 홍보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逸話및 당시 전통적 喪禮風俗과 사회풍속, 지명의 변천 등 당시, 實相의 一面을 알 수 있다. 『애감록』은 1918년 당시까지 전통 상례를 고수했던 괴산지역유림가문의 상례에 대한 전모를 생생하게 동영상을 보듯이 연상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애감록』은 逸話및 당시 전통적 喪禮風俗과 사회풍속, 지명의 변천 등당시의 세태풍속을 알 수 있다. 또한 『애감록』에 수록된 만사, 위장, 제문의 내용을 통해 일제강점기인 1918∼1920년의 애제문의 한 특징을 고찰했다. 아울러 쇠퇴해가는 효행심을 회복 진작시키고자 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 당시 우현정가문에서 오륜행실도를 통해 전통윤리교육을 강화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렇듯 『애감록』은 그 교훈적 문학적 가치를 인정할 수 있다.

U, Ingyu`s(禹仁圭1896∼1961) Aegamrok (『哀感錄』) is the record, `Yeongwoleomssisamnyeon general report journal` which recorded 3books of Cheon Ji In(天·地·人) of all course from lunar August 18th in 1918 when his grandmother Yeongwoleomssi(寧越嚴氏1850∼1918) was died to lunar October 5th in 1920 of Gilje(吉祭). The record of Sang(喪) called the names such as "usually Aegamrok(哀感錄), Jogaekrok(弔客錄), Jowirok(弔慰錄), Buuirok(賻儀錄), Bujeonrok(賻奠錄)", and so on and then edited as each independent book. By the way, U, Ingyu`s Aegamrok (『哀感錄』) recorded the same place collecting of the recording contents in these books. That is to say, it described a condoler`s name, residence, and an obituary gift breakdown. And it wrote Withering to death letter, a written prayer, and Wijang(慰狀) and So(?)which brought by a condoler or long distance sending at received date. This type, Aegamrok is a rare case. U,Ingyu and his father U, Hyeonjeong(禹顯鼎) had associated with Hwaseo Lee, Hangro(李恒老) affiliation characters. In this study, I analyzed as centering with manjang, wijang which had sent by Lee, Hangro(李恒老)literati affiliation characters. Because I was able to judge to consider one side feature of Aejemun early 1900s through school ties personnels` poetry and prose. And I analyzed a message of condolence 10 poems by his daughter-in-law and son`s grandson daughters-in-law. In the mansa, it expressed generally virtuous persons enjoy with longevity. This is a Yugyojeok(儒敎的) Sayu(思惟) which conducted agelong. Wijangryu (尉狀類) are total 59 poems. In the wijang advised to control physical power and to serve mannerly in sangjung(喪中). This is a general contents which sends to person in mourning. Meanwhile, in order to reduce the sorrow, it had reminded past meaningful memory. And there are a person who efforts to try to forget the sorrow by introducing the contents which is merry thing of sending wijang person, that is to say, the person enjoys his grandson`s cute movements. This person is Won, Daegyu and he said the title was `Pagyeokwijang(破格慰狀)`. Jemunryu is 14 poems. I analyzed Jemun which composed by descendants as Daesang(大喪) in 1920. At first, Eomssi was virtuous and seon(善) but they felt sorry contents which was she did not more longevity. Next, Eomssi was praised her benefit which kept chastity(正淑) family custom(家風)by her descendants who instructed with Oryunhaengsildo(五倫行實圖). Unforgetful feeling arranged the contents which composed Jemun(祭文) and cooked a Jesu(祭需). Eomssi was praised compared as ancient people and she equal to them as a woman(女子) quality and Jaaesim(慈愛心). And with the expressing word of death, `Seonhwa (仙化)`, `Seonpyeong(仙枰)` and `Musuk(?宿) does not shine` and so on, these words used Gosa(故事)indirectly and in its way and it can be had expression beauty. In the narrative formal way, it is a basic narrative development way but has high point the Bitonggam(悲痛感) by using triple times repeatedly `Oho Tongjae(嗚呼慟哉)` and so on. 『Aegamrok』kept drawing Jesujinyeoldo(祭需陳列圖) total 15 cases, they can be used exhibit promotion data as Jesueumsik(祭需飮食)by representation. Ilhwa(逸話) and contemporary traditional Sangryepungsok(喪禮風俗) and society customs and change of place name and so on, we can know Ilmyeon(一 面) of Silsang(實相) at that times. 『Aegamrok哀感錄』 is valuable data which can be reminded of watching vivid video clip about sangrye of the whole aspect in Geosan district yurim family which kept to traditional sangrye by contemporary in 1918. U,Ingyu and his father U, Hyeonjeong are Hwaseo Lee, Hangro affiliation characters. These people intended to inspire and to exalt for not only their district people but also `Yeonwonhwasuk(淵源和塾)` disciples about falling loyalty and filial piet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U family left the record, 『Aegamrok哀感錄』. Like this, 『Aegamrok哀感錄』 is a data which can be awaked eruditely yurims` era mission. 『Aegamrok哀感錄』 can be admitted the valuable literary review which can be considered the general feature of Aejemun in 1918 to 1920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rough the recorded Manjang Wijang Jemun contents.

Ⅰ. 머리말
Ⅱ. 禹仁圭의 家學과 『애감록』 저술의 배경
Ⅲ. 『애감록』 의 체제와 수록된 내용
Ⅳ. 『애감록』 소재 哀祭類文의 문학적 교훈적 의의
Ⅴ. 逸話및 당시 實相의 일면
Ⅵ.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