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113.197
3.144.113.197
close menu
KCI 등재
`조국`의 지리적 경계로서 휴전선과 냉전의 심상지리 - 이은상의 『피 어린 육백리』와 냉전의 감각 -
Truce Line as Geographical Border and Imagery of Cold War - The sense of the cold war and < Bloody Six Hundred-Li > -
이선미 ( Lee Sun-mi )
배달말 59권 164-191(28pages)
UCI I410-ECN-0102-2018-700-000244886

『피 어린 육백리』는 휴전선이 수려한 자연경관을 유지하는 국토의 한자락 이지만, 어느 곳이나 핏 자국이 어려있는 고난의 경험을 간직한 길임을 답사 하면서 확인하는 서사이다. 이 수난이 민족의 수난이기에 핏 자국은 거대한 희생을 치룬 증거가 되고, 휴전선 육백리를 걸어가면서 정의를 회복하기 위해 북한을 적으로 규정하고, 자유진영을 중심으로 `국가`의 관념을 재배치한다. 휴전선을 통해 국경을 상상하는 피 어린 육백리의 서사는 휴전선과 이북을 적으로 규정하면서 반공전선을 중심으로 구획되는 자유진영, 자유세계로 국가의 영역을 확장하는 국경인식을 구성한다. 휴전선을 통해 국가를 상상하는 것은 적대감을 통해 위기를 고착화하고, 전쟁을 준비하는 냉전의 감각으로 현실을 인식하는 것이다. 이은상의 기행문은 휴전선에서 벌어진 침략의 역사적 사건들을 겹쳐서 기억함으로써 고려와 조선과 중국의 경험들이 어우러져 적과 아를 구분하고, 그 경험 속에서 결코 타협하거나 공존할 수 없었던 적들의 모습을 북한과 겹쳐서 해석해낸다. 이은상 기행문의 역사적 기억은 휴전선 저편의 적이 어떤 대상인지를 비유적으로 상상하게 하며, 절대로 용서할 수 없는 대상임을 각성하게 한다. 또 북진론을 주장했던 맥아더의 전쟁론이 가장 애국적이며 필요한 정책임을 알려주며, 맥아더의 전술이 혈맹으로서 미국의 입장으로 생각하도록 유도한다. 이은상의 기행문은 단순히 휴전선 너머의 북한을 적으로 규정하고 자유진영을 구축하는 것을 넘어서는 것이다. 기행문의 서정적인 한시와 침략전쟁에 대한 비유적 동일시는 한국전쟁의 성격을 북한 괴뢰의 도발로 해석하고, 맥아더의 북진론 만이 혈맹으로서 자유진영의 전술이 어야 한다는 전쟁인식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This paper is a study about the conciousness of the Cold War represented in the travel narrative of Lee Eun Sang. The area around truce line has magnificent landscape. However, Lee wrote that the truce line is bloody way with the experience of the Korean war, describing magnificent landscape in the < Bloody Six Hundred-Li >. The way is filled with suffer. Because the way got bloody, Lee thought he have to recover justice while walking the truce line. And he imagined that he made an enemy, the North Korea. He formed the idea of nationa focused on the Free World. 『Bloody Six Hundred-Li』 is a narrative that imagines the nation based on the anti-Communist front and expands the area of the nation toward the Free World. This narrative remembers the history of invasion with overlapping. It remembered the history of Chinese invasion in that area near the truce line in Goryo and Joseon Dynasty. Therefore, the author imagined there was war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like the two ancient dynasty had war with China. Also, he described the North Korea as the same enemy. He mentioned the episode that described the a commander in Joseon Dynasty who argued in the side of continuing the war with Japan as the great one and overlapped with the commander Macarthur who insisted to attack North Korea. He regarded the tactics of Macarthur as the political stance of United States. The memory of the war of two ancient dynasty is the narrative that made the North Korea as a complete enemy and portrayed Macarthur as our side. It created the cognition - The enemy of the Korean War was Nor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represented by Macauthur is on our side as the Free World. It is a narrative of the Cold War that refuses peace and prepares war.

1. 냉전의 감각과 『피 어린 육백리』
2. 휴전선을 통한 ‘조국’의 탄생과 자유진영
3. 휴/전선의 역사적 기억과 ‘자유진영’의 안/밖
4. 피 어린 휴전선과 반(反)평화 냉전의 심상지리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