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7.100.181
18.217.100.181
close menu
린각(麟角) 일연(一然)의 고승(高僧) 인식(認識) -『삼국유사(三國遺事)』「의해(義解)」편을 중심(中心)으로-
A Study of Ingak Iryeon(麟角 一然)`s Understanding on Eminent Monks -Focusing on the Chapter Titled Uihae (義解 the Explanation) in the Samguk Yusa (三國遺事)-
명계환 ( Gye Hwan Myung )
한국불교사연구 8권 144-175(32pages)
UCI I410-ECN-0102-2016-000-000696578

麟角 一然이 찬술한 『三國遺事』 가운데 「義解」편은 신라시대의 敎學과 信仰[信行]의 두 측면을 統攝한 高僧 13인과 居士 1인의 전기가 집약되어있는데 이들의 교리의 이해와 전법 활동을 수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일연의 고승 수록의 방식에 대해 주목하여 그의 高僧認識 즉, 일연의 고승수록의 필요성, 특징, 그리고 의의를 『三國遺事』 권4 제5 「義解」편에서 밝히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일연은 고려시대 몽골 침략과 원나라 간섭의 수난기에 살았다. 이때 승려였던 그가 가장 주목했던 불교사상은 ‘佛性’이었다. ‘불성’은 곧 ‘主人公’으로 ‘부처님 성품’이자 ‘우리의 참 마음’을 일컫는다. 일연에게 ‘불성’의전법은 민족의 주권과 정체성을 상실한 우리 민족에게 각자 자신은 ‘주인공’으로서 삶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대인식의 전환을 위해 필요한 것이었다. 그는 먼저 우리민족의 ‘주인공’ 의식의 고양을 위해 「의해」편 고승 13인과 거사 1인의 행적 속에서 유교적 정치이념을 지향하는 『三國史記』에서 삼국의 ‘빠진 이야기’를 드러냈고, 중국 『高僧傳』이나 『海東高僧傳』의 오류에 대한 지적을 덧붙였다. 또 중국과 다름을 지향한 ‘佛敎神異’를 담아 우리 민족 각자 자신은 주인공(불성)으로서 삶의 주체라는 것을 믿고 알게 하는 相對的 주체의식을 일깨웠다. 그리고 천민에서 왕족까지 다양한 출생신분이었던 승려들이 노력 여하에 따라 부처의 반열에 이르는 모습을 보여 주었으며, 또한 부처님 나라인천축으로 직접 구법을 떠난 구법승의 이야기를 담아 우리 민족 스스로가 주인공(불성)으로서 自內的 주체임을 믿고 이해시키려고 하였다. 그러면서 일연이 敎學과 信行을 통섭한 신라의 고승 13인과 거사 1인을「의해」편에 수록하였다는 데에는 특별한 의미가 있다. 즉 이들은 자신들이 주인공(불성)이라는 확고한 믿음과 깊은 이해[信解]가 있었지만 이에그치지 않고 신라에서 강의, 강독, 그리고 다양한 방법으로 전법을 실천하며 이상적인 ‘한국적 부처상’의 완성[行證]을 보여주었다는 점이다. 이러한 완성에는 불교의 ‘修行四段’인 ‘信解行證’을 구족하고 있는데 바로 여기에 일연의 고승인식의 특징이 있다. 한국적 부처상의 유형은 大乘 護國型[원광, 보양], 戒律 占察型[자장, 진표,심지], 瑜伽 華嚴型[태현, 의상, 승전, 법해], 僧俗 不二型[양지, 혜숙, 혜공,원효, 사복]이 있었다. 이들의 행적은 중생들에게는 감동으로 와 닿아 삶의 모범이 되었고, 또 완전한 삶으로 비추어졌다. 그렇지만 부처님의 가르침은 전법 자체에만 의미가 있는 게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인생의 實相을 바로 洞察하여 행복한 삶을 구현함에 있다. 따라서 ‘신해’가 일상적 현실에서의 ‘앎’의 문제에 대해 얘기하고 있다면, ‘행증’은 현실의 ‘삶’에 문제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신해’와 ‘행증’이 그랬던 것처럼 ‘앎’과 ‘삶’의 거리는 능동적 실천에 의해최소화 할 수 있으며, 또 ‘앎’이 좀 더 넓은 세상을 향해 나아갈 수 있는 용기와 희망의 디딤돌이라면 ‘삶’은 일상적 생활 속에서 능동적 실천에 의해 구체화 되었을 때 완전해 지기 때문이다. 여기에 일연의 고승수록에 대한 의의가 있다하겠다. 이상으로 인각 일연은 『삼국유사』「의해」편의 고승수록을 통하여 ‘주체적 앎’ 즉 우리 민족에게 각자 자신은 주인공(불성)으로서 삶의 주체라는것을 ‘믿고 알아야 한다는 것[信解]’과 그 앎을 우리가 사는 이 땅 이 자리에서 ‘능동적으로 실천하여야 비로소 완전한 삶을 이룰 수 있다는 것[行證]’, 즉 ‘능동적 삶’을 살 것을 깨우쳐 주었다.

In the Uihae (義解 the Explanation) chapter of the Samguk Yusa (三國遺 事) complied by Ingak Iryeon (麟角 一然), the biographies of 13 eminent monks and one religious practitioner are integrated. Those biographies tells about the two aspects of their understandings on the doctrines and activities of Dharma transmission. Their integrated biographies also combines both Buddhist doctrines and believing activities. This study focuses on the Iryeon``s understandings of the eminent monks i.e. the needs,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e biographies integration in volumes four and five of the Samguk Yusa (三國遺事). Iryeon was living in the Goryeo period when Mongolia invaded and the Yuan Dynasty intervened in Goryeo Dynasty affairs. Iryeon, then a monk, was primarily interested in the Buddhist concept of “buddhanature.” Buddha-nature is that refers not only to a quality the Buddha had, but also the “true mind” that is inherent in all of us. Iryeon thought Goryeo needed to receive the transmission of buddha-nature to recover its national sovereignty and identity so it could be the master of its own destiny. In order to enhance the sense of our sovereignty, Some stories that were left out of the Samguk Sagi (三國史記 The Chronicles of the Three Kingdoms) he included in the Samguk Yusa in the chapter titled Uihae. These were stories that were oriented toward Confucian political ideology and pointed out mistakes in the Chinese texts Gaoseng zhuan (高僧傳 Biographies of Eminent Monks) and Haedong goseung jeon (海東高僧傳 Lives of Eminent Korean Monks). He also included accounts of miracles performed by Korean Buddhists (佛敎神異) in order to differentiate Goryeo from China and also to give Goryeo people a sense of its own identity through knowing and believing ``Buddha nature`` to enhance a relative sense of sovereignty. In addition, he also included stories about monks from all walks of life, both high and low, who had attained the Buddha``s enlightenment. And in one story about a monk who traveled to India to seek the dharma, he tried to make people believe and understand that Goryeo was a principal agent of buddha-nature. The reason for Iryeon’s accounts of the 13 eminent monks and one religious practitioner was to show the various ways dharma could be transmitted. The reason why Iryeon recorded was to show the practiced dharma transmission through lectures, readings with comments and the idealistic Buddha``s image in Silla even though they had a concrete belief and understanding about buddha-nature. In this manner the Uihae chapter illustrates Buddhism’s “Four Stages of Practice (修行四段)”: faith, understanding, practice and realization (信解行證). It also presents Iryeon``s understanding of eminent Monks. The typical types of the Korean Buddha image are; a type of protecting the state (大乘護國型) of the Great Vehicle (Master Wongwang, Boyang), a type of divination and precept (戒律占察型) (Master Jajang, Jinpyo and Simji), a type of Yogacara and flower adornment (瑜伽華嚴型) (Master Taehyeon, Uisang, Seungjeon and Beophae), and a type of non-duality, monks and laity (僧俗不二型) (Maser Yangji, Hyesuk, Hyegong, Wonhyo, and Sabok). Their exploits impressed sentient beings and set an example to follow. However, the Buddha``s teachings are not meaningful in the actual act of dharma transmission itself; they are meaningful in the ultimate realization of happiness by giving us insight into the true reality of life. Therefore, “faith and understanding (信解)” discusses a matter of ‘knowing’ in everyday reality, whereas “practice and realization (行證) shows a matter of ‘practice’ in reality. As the relationship between “faith & understanding (信解)” and “practice & realization (行證)”, the gap between knowledge and life can be minimized by an active practice. If knowledge is a steppingstone to courage and hope for going out into the wider world, life is made whole and complete by an active practice in everyday life. This is Iryeon``s understanding of eminent Monks. In short, Iryeon``s understanding of eminent Monks, as presented in the Uihae chapter of the Samguk Yusa, teaches us that we have to believe and understand (信解) our identity as the owner of buddha-nature. He also teaches us that we have to practice and realize (行證) actively here in this world in order to have a full and complete lif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