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227.191.136
34.227.191.136
close menu
KCI 등재
19세기 장편 연행가사에 보이는 연경(燕京) 풍물(風物)의 감각적 재현 양상
Aspects of Sensuous Representation of Pungmul of Yeongyeong Shown in 19th Century Long Yeonhaeng Gasa
김윤희 ( Yun Hee Kim )
우리어문연구 54권 231-255(25pages)
UCI I410-ECN-0102-2016-710-000793268

본고는 19세기 연행록 『부연일기』에서 가사 <무자서행록> 그리고 <병인연행가>로 변화되는 과정에서의 연속성과 유사성이 대체로 연경에서의 풍물(風物)이 형상화된 장면에 집중되어 있는 현상에 주목해 보았다. 주로 이국적(異國的)이고 인상적인 소재들의 경우 산문 기록인 『부연일기』의 내용 중에서 선별되어 <무자서행록>에 형상화되어 있고 이 장면들은 <병인연행가>에도 유사하게 수용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무자서행록>의 두 이본과 <병인연행가>, <병인연행가>의 몇몇 이본을 검토해 보면 이 유사한 장면들에 보이는 다양한 의성어·의태어들이 변이되는 양상 또한 발견되었다. 이는 연경에서 경험한 풍물과 그 기억을 감각적으로 재현하고자 한 작가 의식의 반영임과 동시에 작품을 향유하던 이들의 능동적 몰입을 확인케 하는 사례로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이국적 풍물에 대한 기억과 재현의 장면에서 시각이나 청각과 같은 감각적 이미지가 주를 이루는 것은 19세기 장편 연행가사에서만 발견되는 특징적 면모이기 때문이다. 특히 산문 기록이 가사 작품으로 변화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인상적인 정보들의 선택과 나열, 그리고 주관적이고 감각적인 수사가 추가되는 방식이 주를이루고 있었다. 19세기 장편 연행가사에서 연경의 풍물이 재현되고 있는 장면들에는 ‘생동 이미지’로 볼 수 있는 감각적 표현들이 다수 발견되는데 이는 수용자들에게 선명한 연상(聯想) 작용을 가능케 했던 것이다. 수용자에게 강한인상을 주는 이러한 ‘능동적인’ 이미지는 기억과 상상의 상호 작용을 가능케 한것으로 보인다. 그로 인해 향유자들은 이 장면에서 발견되는 감각어를 주관적으로 변용해 보는 등의 실천적 몰입을 지속하면서 여러 이본들이 생성된 것으로 보인다. 필사자들의 독자적 표현 미감(美感)과 개성(個性)이 반영되어 있는 유동적 변이 현상이 확인되는 것이다. 이처럼 산문 기록에서 가사로, 가사의 이본들로 연속되는 과정에서 발견되는 시각·청각 이미지의 강화와 감각어들의 변이 양상은 연행가사 작품이 향유·유통되는 과정에서의 능동적 변모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유의미한 현상이라 할 수 있다. 상호텍스트성에 기반하여 창작된 작품이라 할지라도 단순히 기존 자료를 모방하거나 답습하는 차원에 그치지 않고 독자적 표현 미감을 생성한 측면이 발견되며 이는 유사하면서도 ‘다른’, 근대 이전 필사 문화의 다양성과 능동성을 보여주는 한 사례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이다.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connectivity and similarity generally concentrated in scenes of the embodied pungmul(風物) of Yeongyeong(燕京) in the process of changing from the 19th-century Yeonhaengnok 『Buyeongilgi』 to Gasa works, such as and . It was found that exotic and impressive materials were selected from 『Buyeongilgi』, an explanatory note, and were embodied in and those scenes were similarly adopted by . According to two different versions of and a few different versions of , various onomatopoeic and imitative words viewed in similar scenes have been changed. Such a situation can be interpreted as a case of reflecting the consciousness of the writer to sensuously represent pungmul experienced in Yeongyeong and its memory and confirming the active commitment of persons who enjoyed those works. Different senses, such as seeing visual or hearing, form images that are the main factors related to the memories and representation of exotic pungmul and this is a special feature just found in the 19th-century long Yeonhaeng Gasa. Looking into the process wherein explanatory notes changed to Gasa works, the main points were the selection and arrangement of sensory information and the way in which subjective and sensuous rhetoric were added. Scenes representing Yeongyeong pungmul in the 19th-century long Yeonhaeng Gasa works reveal a lot of sensuous expressions that can be seen as ‘lively images’ which enabled receivers to clearly associate with it. Those ‘positive’ images that give strong impressions to receivers probably caused memory and imagination to interact. The strengthening of visual and auditory images and the changing of sense words can be considered as significant in that Yeonhaeng Gasa works show active aspects in the process of being enjoyed and distributed. Even works created based on intertextuality just didn``t simply imitate or follow existing data. Aspects of creating a unique expression of aesthetic sense is found instead, which can be interpreted as a case of showing the diversity and activeness of pre-modern transcription culture that is similar and ``different`` at the same time.

1. 서론
2. 견문(見聞) 소재의 선택적 재구성과 시각적 재현의 양상
3. 연경(燕京)의 기억에 대한 청각적 환기의 장면과 그 유동적 특징
4. 결론
참고 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