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7.192.3
3.137.192.3
close menu
KCI 후보
문화 : < 황화만년지곡 > 연구
Culture Edition : Study of Hwanghwamannunzigok
이수정 ( Su Joung Lee )
온지학회 2016.01
온지논총 46권 233-264(32pages)
UCI I410-ECN-0102-2016-810-000480412

이 글은 창작국악 첫 작품으로 알려진 1939년 김기수작곡 이능화작사의 <황화만년지곡>에 대한 연구가 미진하다는 문제점을 인식하여 창작배경, 작곡과 초연상황, 악보의 내용 등을 연구하였다. 일본 건국2600년 기념 헌정작품으로 작곡된 이 작품은 일제에 의해 수년간 준비된 행사 중에 하나로 파악하였다. 이 작품이 작곡되고 연주되었던 1940년 아악부의 외부 활동은 이왕직 왕실을 드러낸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일제에 의해 상징적인 의도로 이용되었는데 <황화만년지곡>이 그중에 한 부분이었던 것으로 파악하였다. 작곡배경이 되는 황기2600년 기념행사의 성격과 사회적인 분위기, 일본기원 2600년 봉축곡과 그 곡들이 작곡되었던 당시의 상황을 통해 식민지 조선의 이왕직에까지 철저하게 준비시켰던 결과물로서 이 곡이 작곡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황화만년지곡> 초연이 1940년 2월 13일 부민관 공연이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고 <황화만년지곡>과 <황화만년지무>가 상관관계가 없다는 새로운 해석을 하였다. 악보에 기보된 악상기호의 내용, 악기의 사용과 연주편성 등 상관관계 등을 살펴 실제 연주와 악보상의 내용이 조금 달랐을 것이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가사분석을 통해 내용은 친일의지가 분명하지만, 해당 가사부분의 악보가 없으므로 음악적인 부분에서 어떻게 해석하여 작곡하였는지는 알 수 없다. 1940년의 기원 2600년 행사를 중심에 놓고 <황화만년지곡>을 살펴보니 이 곡이 한국최초의 창작국악 또는 김기수 개인의 처녀작으로만 한정되는 작품이 아님을 알 수 있었다. 일제강점기의 역사적 현실을 담은 곡으로서 음악사적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This dissertation known as the first new creation work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1939, Hwang-hwa-man-nyeon-gi-gok composed by Ki-soo Kim and writtenby Neung-hwa Lee, includes the background of creation, the situation of composition and first performance, the contents of the musical notes. This work composed for the tribute to the memorial of 2600 founding anniversary Japan is one of the occasion which has been arranged by the Japanese Empire for years. As the external activities of Ah-ack-bu with this work means to reveal the royal family of Yi Wang-jik, this work was used by Japanese Empire. This dissertation states the feature of the memorial of 2600 founding anniversary Japan, the background of composition, society, the history of Memorial bong-juk-gok. This dissertation states that Hwang-hwa-man-nyeon-gi-gok had it``s premiere in 13th February in 1940 in Bu-min gwan, and interpret that there is no mutual relation between Hwang-hwa-man-nyeon-gi-gok and Hwang-hwa-man-nyeon-gi-moo. It was concerned that the actual performance and the score may have som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of the contents of signs, instruments, organization. It also states pro-Japanese by analyzing the lyrics. It has been found that Hwang-hwa-man-nyeon-gi-gok of the Memorial in 1940 has more meanings than the first creation of Korea and the Ki-soo Kim``s maiden work. This work can be under stood by meaning of the history and the Colonial Japanese era according to the Musical history in Korea.

Ⅰ. 머리말
Ⅱ. <황화만년지곡> 작곡배경과 연주
Ⅲ. <황화만년지곡> 악보와 가사 분석
Ⅳ.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