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1.146.223
18.221.146.223
close menu
KCI 등재
무한공간의 출현과 근대의 서사: 아리시마 다케오를 중심으로
The Advent of Infinite Space and Modern Narratives
서영채 ( Young Chae Seo )
비교문학 67권 87-108(22pages)
UCI I410-ECN-0102-2016-800-000242381

이 논문은 무한공간이라는 개념을 참조점으로 하여 근대성과 동아시아 문학이 만나는지점에 대해 성찰하기 위해 씌어졌다. 먼저 갈릴레이와 파스칼을 통해, 무한공간이 본격적으로 출현했던 17세기 유럽의 지적 풍토를 스케치한 후, 이에 대해 매우 직접적으로 반응했던 일본 작가 아리시마 다케오의 경우를 살펴본다. 『아낌없이 사랑은 빼앗는다』라는 장편 에세이와 아리시다 다케오의 삶 자체가 중심 대상이다. 그리고 근대로의 전환기 동아시아의 문학적 구도를 한중일 삼국을 중심으로 살펴본 후, 루쉰의 단편소설 「축원례」에 등장하는 무한공간의 문제를 중심으로 이 시기 중국문학의 특성을 살핀다. 마지막으로 이광수와 염상섭의 소설을 중심으로 하여 한국 문학의 경우를 기술한다. 논문의 전체적인 구도는, 아리시마 다케오의 삶과 문학에 의해 표현되는 가차없는 자아주의, 루쉰의 삶과 문학에 의해 구현되는 전투적 계몽주의, 그리고 그 둘사이에서 분열되어 있는 한국의 구도로 도식화될 수 있다.

This paper was written to look into the scene where the modernity and the East Asian literature crossed over, on a reference point of the infinite space. After sketching out the intellectual atmosphere of 17th century Europe when the notion of infinite space came out first to eyes of the public by reading Galileo and Pascal, I read an essay, "Oshiminaku Ai wa Ubau"(Love Robs without Hesitation)(1920) written by Arishima Takeo which is an direct response to it in modern East Asia. And I describe the frame of modern East Asian literature which was made in the transitional period to modernity focusing on the three countries, Japan, China, and Korea, before writing the character of Chinese literature of this period through analyzing the way of depicting the notion of infinite space in a Lu Xun’s story, "New Year Sacrifice”(zhufu,祝福). Last but not least, I write the cases of Korean literature by means of analyzing three texts of two writers, Yi Gwang-su and Yom Sangsop``s. The frame of this paper can be simplified as the threefold: a relentless egoism of Arishima Takeo’s life and works, a combative enlightenment expressed by Lu Xun’s life and writings, the broken up of the Koreans writers’ between the two.

Ⅰ. 근대성과 무한공간의 공포
Ⅱ. 주체의 불안과 존재론적 간극
Ⅲ. 아리시마 다케오의 삶의 특이성
Ⅳ. 종교와 문학, 아리시마 다케오의 자아주의
Ⅴ. 맺음말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