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14.126.74
52.14.126.74
close menu
KCI 후보
먹는 방송과 "요리하는 방송" 음식 미디어에 대한 커뮤니케이션학적 탐색: 텔레비전 먹방/쿡방 유행의 사회문화적 배경과 뉴미디어 이용 요인
“Eating broadcasts” and “Cooking broadcasts” Exploratory study on food media trends: Socio-cultural backgrounds and new media use factors
나은경 ( Eun Kyung Na )
사회과학연구 28권 1호 183-215(33pages)
UCI I410-ECN-0102-2016-300-000382145

이 논문은 최근 한국 사회 방송 콘텐츠의 화두로 떠오른 ‘먹는 방송’ 및 ‘음식과 요리’ 리얼리티와 오락 프로그램 중에서 소위 ‘먹방’과 ‘쿡방’ 유행의 커뮤니케이션적 함의를 다루고있다. 먼저 2009년 이후 한국 방송 트렌드의 대세가 된 ‘먹방’이 수그러들 기세를 보이지않는 가운데, 2014년에 그 정점에 달하고 2015년에 이르러 ‘쿡방’으로의 진화를 주도한 사회문화적인 현실 배경과 심리를 설명하는 몇 가지 대표적인 커뮤니케이션적 관점들을 소개했다. 다음으로 지금까지 드러난 ‘먹방’과 ‘쿡방’의 세 가지 속성- 가족 가치에 천착, 판타지적 가상현실 제공, 뉴미디어 환경과의 연계 -에 근거하여, 왜 기존의 단일매체 중심적인 언론학의 주요 이론 및 연구 결과가 작금의 먹방/쿡방 현상에 직접 적용되기 어려운지를 구체적으로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커뮤니케이션 현상으로서 먹방/쿡방 유행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 향후 커뮤니케이션 학자들이 고려할 만한 연구 문제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The present paper aims to explore various communicative implications of current popularity of food television, focusing on what has emerged as the primary broadcasting media contents of reality shows: ‘eating broadcasts’ and ‘cooking broadcasts.’ First, several social discourse and theoretical approaches that have dominated the extant reality TV shows and food television trend literature are briefly introduced. Next, it is discussed how social and journalistic issues on this phenomenon diverges from what was normally assumed in the previous communication research in terms of (a) family values change, (b) fantasy of vicarious reality experiences, and (c) connection with new media environment, which casts doubt upon the applicability of prior findings to this nascent communication venue. Based on the review, specific research agendas are proposed to better understand food TV trend as yet another form of communication research field.

I. 문제제기 및 연구의 목적
II. ‘먹는 방송’ 및 ‘쿡(cook) 방송’의 진화와 사회적 현실구성
III. 사회문화적 배경
IV. 결론 및 논의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