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90.217.134
18.190.217.134
close menu
KCI 후보
피난민 산책자와 1970년대 서울-최인훈의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론-
Flaneur in Exile and Seoul in 1970s
권은 ( Eun Kwon )
시학과 언어학 30권 97-120(24pages)
UCI I410-ECN-0102-2015-700-001787104

본 논문은 최인훈의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연작을 ‘피난민 산책자’의 개념을 통해 살피고 ‘야간 통행금지’가 시행되던 1970년대 서울의 시공간적 맥락 속에서 고찰해보고자 한다. 이 작품은 흔히 박태원의 동명의 작품을 ‘패러디’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 작품이 발표될 시기에 박태원은 문학사에서 사라진 존재였으며 그의 작품인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도 출판되거나 자유롭게 읽을 수 없었다. 문학사의 금기를 환기한다는 점에서, 최인훈의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은 “우리 사회의 문명의 근본 터부”를 탐색하려 시도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월북작가’라는 문학사적 금기는 1970년대 ‘야간 통행금지’와 ‘위수령’이라는 또 다른 시대적 금기를 통해 구체적으로 모습을 드러낸다. 최인훈의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의 중심인물은 이중의 시각을 갖는 ‘피난민 산책자’의 특성을 보여준다. 서울의 야간 통행금지는 피난민 작가인 최인훈이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하는 분단의 냉험한 현실을 강하게 환기시키는 역할을 한다. 최인훈은 박태원의 의식의 흐름 기법을 창조적으로 계승하여 자신이 현재 속한 남한 사회와 자신의 고향인 북한 사회를 대위법적으로 사유하고 있다. 분단된 남과 북을 동시에 입체적으로 사유함으로써 최인훈은 냉전시대의 한반도를 더 큰 맥락 속에서 종합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된다. 또한 구보가 텍스트 속에서 떠올리는 ‘단테’, ‘샤갈’, ‘이중섭’ 등의 예술가들은 모두 고향을 떠나 이국을 떠돌던 ‘피난민’들이었다. 최인훈은 그들의 예술 세계를 통해 자신의 심정을 암시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이는 최인훈의 고유한 기법이면서 동시에 박태원의 모더니즘적 기법을 1970년대의 서울의 시공간적 맥락 속에서 변형시킨 것이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flaneur in exile’ in Choi, Inhoon’s A Day in the Life of Kubo the Novelist in 1970s Seoul where was imposed a dusk-to-dawn curfew. This novel was known as a parody novel of the same title written by Park, Taewon. However, it was not just a parody, but arose the readers’ attention and the fact that Park’s eponymous novel has been prohibited and readers in south Korea could not publish or read it. As Park defected to North Korea for political reasons in 1950. Choi’s novel provoked the tabooed text. Such a taboo as ‘procommunist artist’ in the Cold War is related to the another taboo in society like ‘dusk-to-dawn curfew’ and ‘garrison act’. The protagonist in Choi’s A Day in the Life of Kubo the Novelist can be regarded as a ‘flaneur in exile’ who has double perspective. The Curfew of Seoul provoke him the political reality that nobody cannot cross the border. He could not go home. Choi inherited the Park’s heritage creatively. As insider and outsider at the same time, a flaneur in exile could see both north Korea and south Korea stereoscopically. Moreover, he thought of Dante, Chagall, Lee Jungseob, the exiled artists. Choi expresses his emotion and feeling through their artistic world. This is Choi’s own specific technique and creative adaptation of Park’s modernist techniqu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