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94.251
3.145.94.251
close menu
KCI 등재
특집1: 근대전환기의 고전 이해와 한국학(한국문학)의 모색 : 근대 잡지에 수록된 전통 시가의 존재와 그 의미 -『신생』을 중심으로
The Existence and its Meaning of Traditional Poetry in the Magazine in Modern Period - Focused on The New Life
정인숙 ( In Sook Jeong )
반교어문연구 39권 63-100(38pages)
UCI I410-ECN-0102-2015-800-002034934

『신생』은 1928년에서 1934년까지 간행된 기독교계 종합월간지로 종교, 철학, 과학, 보건, 역사, 농업, 교육, 문예 등 다양한 분야의 읽을거리를 제공한 교양지였다. 특히 한시, 전설, 민요를 포함하여 시조, 가사 등 전통 시가를 다양하게 소개한 점이 주목할 만하다. 이 글은 근대 잡지 『신생』에 수록된 전통 시가의 현황을 살펴보고 전통 시가가 배치되는 구체적인 양상을 검토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나아가 전통 시가가 수록된 배경을 살펴보고 근대의 고전 활용의 의미와 전통 시가 전승의 향방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신생』에 나타난 전통 시가의 존재 양상을 살펴보면 첫째, 계절이나 특정 시기를 고려하여 고시조를 배치하고 지면 구성을 다양하게 한 점을 들 수 있다. 봄, 여름, 가을 등 계절에 어울리는 작품이나 어머니날 또는 칠월 칠석 등과 같은 특정 시기를 고려한 작품이 배치된 예를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는 ‘고시조’라는 제목 아래 작품이 배치되는 경우도 있으나 특정 표지 없이 지면의 내용 구성에 따라 자연스럽게 배치된 경우도 있다. 둘째, 율곡 이이의 연시조 <고산구곡가>가 반복 배치되어 있고 율곡 이이가 높이 평가되어 있는 점이다. <고산구곡가>는 16세기 사림파 문인의 정신세계를 고스란히 담은, 주자의 도통을 잇는 상징적인 작품으로, 최남선의 『소년』이나 『청춘』에서는 크게 주목받지 못했던 사정을 감안할 때 『신생』에서 각별한 관심을 받았던 점은 자못 흥미롭다. 셋째, 가사 <농가월령가>가 시기에 따라 분할 배치되어 있고 농민생활에 대한 관심이 드러나 있는 점이다. 당시 시조가 국민문학으로 부각된 데 비해 가사는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했던 상황에서 『신생』에 <농가월령가>의 8월령, 9월령, 정월령이 소개되어 있는 점은 무척 특이하다. 이들 월령이 선택된 것은 음력으로 8월에는 한가위, 9월에는 9월 9일 중양절, 정월에는 초하루 및 대보름이라는 중요한 명절과 절기가 있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또한 <농가월령가>가 선택된 데는 『신생』이란 잡지가 농민의 삶이나 농민문예 등에 상당한 관심을 가졌던 점과도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신생』은 각 방면으로 원만하고 건전한 인격을 수양하기 위한 ‘수양독본’을 지향했고 이를 위해 다방면의 읽을거리를 제공하고자 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조선을 알아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전통 시가와 전설, 민요 등 우리(조선) 문학에 대한 관심이 두드러졌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특징은 특히 이은상이 편집장으로 있던 시기에 집중적으로 드러나는데, 여기에는 일정정도 그의 문학적 안목과 소양이 반영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계절이나 팔월 한가위, 칠월 칠석과 같은 세시풍속이나 민속 등을 고려하여 작품을 적절히 배치한 덕분에 독자들은 ‘옛 것’에 대한 거부감 없이 자연스럽게 읽고 감상할 수 있었으리라 짐작된다. 『신생』은 조선 청년을 위한 수양독본을 지향함에 있어 고전을 적극 활용했던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xistence and its meaning of traditional poetry in the magazine The New Life in Modern Period. The New Life was a religious monthly magazine published from 1928 to 1934. It inserted articles in various categories for example religion, philosophy, science, health, history, agriculture, education, literature. It is remarkable that The New Life inserted many literary works like traditional poetry, folk songs, legends. The existence and its meaning of traditional poetry in the magazine The New Life is as follows. The first, old sijos are inserted in consideration of seasons or seasonal customs, specific times. We can find these examples that old sijos belong in the then season are inserted or old sijos that express loving parents are inserted on Mother’s Day. The second, Gosan-gugokga written by Yulgok are inserted twice and Yulgok is stood high in estimation. Gosan-gugokga is the work that represented the mental spirit of sarim school in 16th century. The third, Nongga-wollyongga are inserted partially, and the interest in peasant life is exposed. Nongga-wollyongga belongs to gasa genre, especially the song of August and October and January are inserted. The New Life aimed at the reading book for cultivating mind, so it inserted articles in various categories. It is assumed that The New Life inserted literary works like traditional poetry, folk songs, legends because of the realization that ‘Young men of Chosun must know their country Chosun’. It has something to do with Lee Eun-sang the chief editor of The New Life from 1929 to 1931. Lee Eun-sang had a knowledge for traditional poetry. It is also assumed that reader could enjoy without repulsion of the old thanks to that. We can evaluate The New Life made use of classic works to be reading book for cultivating mind.

1. 머리말
2. 『신생』에 수록된 전통 시가의 현황
3. 『신생』에 나타난 전통 시가의 존재 양상
4. 수양독본으로서 고전의 활용과 전통 시가 전승의 향방
5.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