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3.131.168
3.133.131.168
close menu
KCI 등재
박태원 소설의 감성과 이데올로기 -<명랑한 전망>을 중심으로
Sensibility and Ideology of Park, Tae-Won`s Novel -Focused on Bright Perspective-
김미현 ( Mi Hyun Kim )
현대문학의 연구 51권 369-395(27pages)
UCI I410-ECN-0102-2015-800-000393663

기존 연구들에서 박태원 소설의 ‘명랑’은 1930년대 말 일본 식민주의의 신체제론을 적극 수용하거나 그와 반대로 그것을 비판하는 개념으로 양분화되어 논의되었다. 그러나 명랑은 신체제론 등장 이후 문학 외부로부터 강요된 순응적 이데올로기가 아니라, 1930년대 초반부터 문학 내부의 창작 원리로서 지속적으로 고려되었던 박태원 문학의 감성 이데올로기이다. <명랑한 전망>(1939)을 통해 살펴볼 때 박태원 소설의 명랑은 퇴폐를 대변하는 신여성의 모습으로 젠더화되거나(2장), 전통을 대변하는 구여성을 통해 긍정적 가치로 번역되기도 하며(3장), 근대적 남성주체의 죄의식을 통해 윤리적 결단을 종용하는 태도로 이성화하기도 한다(4장). 이런 과정에서 명랑은 ‘여러 개’의 명랑으로 분화되고 체계화되지만, 그와 동시에 ‘파시즘적 황홀’이나 ‘유사 승고’의 개념과 연결될 수 있는 위험성을 내장하게 된다. 따라서 박태원 소설의 명랑은 인공성ㆍ허구성ㆍ윤리성ㆍ사회성 등에 대한 입체적인 번역 작업을 수행했다는 것, 체제 순응적ㆍ소극적ㆍ억압적 개념에서 벗어나 체제비판적ㆍ적극적ㆍ반성적 개념으로 전환되었다는 것, 일본의 제국주의적인 신체제론에 의해 외부로부터 주입된 논리가 아닌 소설 내부의 창작원리이자 역사적 맥락과의 접점으로 활용되었다는 것 등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박태원은 명랑이라는 ‘숭고한 대상’의 위험성을 알고도 여전히 명랑이라는 ‘사회적 환상’을 포기하지 않았다. 오히려 명랑이 지닌 위험성과 한계를 적극 활용하면서 그 공백과 결핍을 생산적으로 전유했다. 이런 과정 속에서 박태원은 모더니즘과 리얼리즘, 통속문학과 본격문학, 일제에 대한 협력과 저항이라는 이분법적 대립 구도를 벗어나 그 경계 위에서 양 극단 모두를 아우를 수 있었다. 때문에 가장 중충적이고 복합적인 명랑의 개념을 보여주는 <명랑한 전망>을 통해 명랑의 개념을 고찰한다면 박태원 문학을 단선적 혹은 단절적으로 파악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It has been deemed mostly that the concept of ‘brightness’ in Park, Tae Won`s novel indicates actively the acceptance or the criticism for the New Life System of Japanese colonialism in the late 1930s. The brightness, however, is not the forced logic of domination from the outside but the sustaining ideology of sensibility as the creative principle from the inside of the novel, which is considered since the early 1930s. The work Bright Perspective(1939) exhibits the brightness to materialize gender image through the feminine figure that stands for decadence, traditional value through the translation that links affirmative worth, and rational ethics through the guilty conscience that is regulated by moral. Such genderalized, traditionalized, and rationalized embodiment ensures the multiplicity, positivity, and historicity of the brightness. Furthermore, this concretization of the brightness shows the aspect that the sensibility itself is located as the sublime object of Ideolog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