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108.9
3.145.108.9
close menu
KCI 등재
자기 조절과 도덕교육
Self-regulation and moral education
추병완 ( Beong Wan Chu )
윤리교육연구 29권 301-322(22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559657

자기 조절은 상위의 목표 달성이라는 관점에서 자신의 사고ㆍ감정ㆍ욕구ㆍ행동을 바꾸려는 시도를 의미한다. 자기 조절은 우리가 사건에 대한 무력한 관망자로 전락하는 것을 막아주는 동시에 능동적인 의사결정 및 행위자로서의 인간의 본질을 실현시켜 주는 매우 중요한 인간의 능력이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우리의 결정을 행동으로 옮기는데 실패하는 것은 자기 조절의 실패라고 말할 수 있다. 즉 사고와 행동의 불일치 혹은 결정을 행동으로 옮기는데 있어서의 실패는 부분적으로 자기 조절의 실패와 깊은 연관성을 맺고 있다. 학교 폭력과 인터넷 중독, 사이버 범죄 등의 문제 행동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아동과 청소년의 자기 조절 실패 현상은 단순히 당사자의 개인적 수준을 넘어서서 사회 문제로 발전하고 있다. 우리가 올바른 도덕적 결정을 내리고도 그것을 행동으로 옮기는데 실패하는 것 혹은 순간의 유혹에 굴복하여 비도덕적인 행동을 저지르는 것은 명백한 도덕적 자기 조절의 실패라고 말할 수 있다. 인간에게 있어서 도덕적 행동의 실천은 각자에게 하나의 삶의 목표일 수 있다. 그러한 목표 달성을 위해 가용한 자원을 어떻게 활용하고, 자신의 사고와 감정 그리고 욕구와 행동을 어떻게 조절해야 하는지의 문제는 자기 조절의 측면에서 가장 잘 파악될 수 있다. 이에 이 글에서는 자기 조절이 도덕교육에서 차지하는 중요성과 의미를 탐색하고, 자기 조절과 관련된 사회 인지 이론, 사이버네틱 통제 이론, 자기 통제 힘 이론의 주요 특징을 분석하며, 세 가지 자기 조절 이론들이 도덕교육에 주는 시사점이 무엇인지를 규명하였다.

Compared to other living creatures, human beings have an extensive ability to exert control over their inner states, processes, and responses. People are able to resist their own impulses, adapt their behaviors to social standards, and change their current behaviors in the service of attaining distal goals. The term self-regulation is used to refer to efforts by humans to alter their thoughts, feelings, desires, and actions in the perspective of such higher goals. Thus, self-regulation refers to the person as an active agent and decision-maker, and is a vital aspect of human adaptation to life. In this article, I delved into definitions of self-regulation and it`s important to human life and moral education. Then I tried to analyze three different theories on self-regulation such as social cognitive theory, cybernetic control theory, and strength theory of self-regulation. According to social cognitive theory, moral conduct is regulated vis mechanisms of self-reactive influence. Cybernetic control theory emphasizes that people live life by identifying goals and behaving in ways aimed at attaining those goals. Self-control strength theory assumes that successful self-regulation entirely depends on the availability of the resource. Finally, I did suggest several implications to moral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each theory. When teachers deliberately teach self-regulation as part of everyday experiences, they help students become actively engaged moral action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