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51
216.73.216.251
close menu
KCI 등재
주택가격 변화에 따른 여성 출산율에 관한 연구
Do House Price Changes Affect Household Birth Rates?
서미숙 ( Mi Suk Seo )
UCI I410-ECN-0102-2014-300-001629905

본 연구에서는 한국사회보건연구원의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실태조사’ 자료와 KB 국민은행이 수행한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거주자가 소유하고 있는 아파트 매매가격 변화, 즉 거주형태에 따른 아파트 매매가격 변화가 가구주 부인의 자녀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방법론적으로는 Probit 회귀모형을 기본적으로 사용한다.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아파트에 전세로 사는 거주자는 아파트 주택매매 가격이 상승할수록 아파트에 자가로 사는 거주자보다 자녀 출산 확률이 낮아짐을 보인다. 즉, 아파트 매매가격 변화율이 약 10% 상승할 때 아파트 전세에 사는 거주자에 비해 아파트 자가에 사는 거주자가 약 1.06%∼0.5% 정도 출산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article uses micro-level data from the National Survey on Family Health and Birth to estimate how housing value changes affect fertility decisions of the household. It allows this paper to examine fertility responses to housing price changes by homeowner status. To analysis how the birth rate is related to wealth variation, in particular, we use how housing prices provided by KB Home Sales Price Trend using the Probit method.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f the fertility of a renter of apartment lease on the likelihood of the birth rate reduction compared with an owner of apartment. Namely, when apartment for sale price increases about 10%, a household`s renter of apartment lease reduces on fertility about 1.06%∼0.5% compared to a woman who owns her apartmen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1. Effects of Housing Price on Married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in Korea

2. 김현숙・류덕현・민희철, “장기적 인적자본 형성을 위한 조세.재정정책: 출산율 결정요인에 대한 경제학적 분석”, 한국조세연구원, 2006.

3. 박연우・방두완, “국내 부동산 가격지수 개발방향”, SIRFE Occasional Paper Series, 11-P01, 2011.

4. 임미화・정의철, “주택가격변화가 가구의 저축 및 자산축적에 미치는 영향”, 한국부동산분석학회, 17(1), 2011-03.

5. 통계청・금융감독원・한국은행, “2010년 가계금융조사 결과”, 보도자료, 2010. 12. 29.

6. An analysis of female labor supply, housing demand and the saving rate in Japan

7. The Effect of Liquid Housing Wealth on College Enrollment

8. Nicole M. Fortin, “Allocation inflexibilities, female labor supply, and housing assets accumulation: are women working to pay the mortgage?, Journal of Labor Eoconomics, 1995, 13(3).

×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2030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2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