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3.229.82
3.143.229.82
close menu
대학교수의 조직문화에 대한 인식이 연구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Culture on Faculty Research Productivity
박은경 ( Eun Kyoung Park )
고등교육연구 16권 1호 109-131(23pages)
UCI I410-ECN-0102-2012-370-003375379

본 연구는 대학교수의 조직문화에 대한 인식이 연구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는 세계의 대학교수에 관한 국제 비교 연구에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사용하였으며, 분석대상은 국내 175개 4년제 대학에 재직 중인 대학교수887명이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술통계 분석, 집단 간 차이 검정,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대학의 조직문화를 분석한 결과, 한국 대학의 조직문화는 비교적 목표합의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기부여체제는 잘 갖추어져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활동의 자율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 특성에 따른 조직문화 인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직급이 높을수록, 나이가 많을수록 조직문화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를 선호하는 교수가 교육을 선호하는 교수에 비해서 조직문화가 연구지원적이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공계열 및 대학의 특성에 따른 조직문화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Hard 계열은 Soft계열에 비해, 연구중심대학은 교육중심대학에 비해 외적 동기부여체제가 잘 갖추어져 있는 반면, 연구활동의 자율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중심대학, 교육중심대학이 박사학위수여대학에 비해 목표합의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직문화가 연구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동기부여체제가 연구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목표합의수준, 연구활동의 자율성이 연구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 연구는 대학교수의 조직문화에 대한 인식이 연구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연구성과를 높이고자 하는 정부, 대학, 대학교수의 노력에 방향을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국내 대학을 대상으로 하는 조직문화 연구의 초기 단계 연구로서, 향후대학을 대상으로 하는 조직문화 연구에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culture on faculty research productivity. This research used survey data consisting of 887 professors from 175 four-year Korean universities. To achieve the purpose effectively, descriptive analysis,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as analytic methods.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organizational culture of Korean universities, the mission agreement appeared to be higher. The motivation system was not well maintained, and it appeared that the faculty who was performing the research were not satisfied with the support given. Also, it was discovered that the academic autonomy was high, and that it was evident that Korean faculty had the autonomy needed to adequately conduct research. Second, according to analysi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culture, there were differences based on the faculty`s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higher in rank and age, the more likely the faculty were to positively recognize organizational culture. Furthermore, faculty who preferred to do research recognized that organizational culture supports research activities as compared with those who preferred to do educate. Third, based on academic disciplines, hard disciplines had a better extrinsic motivation system than soft disciplines. Also, based on the institutional mission, research universities and comprehensive universities appeared to have a higher mission agreement than Ph.D granting universities. Fourth,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perceived organizational culture on research productivity, the motivation system had a positive influence on research productivity. However, influence of mission agreement and academic autonom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