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6.166.214
18.226.166.214
close menu
KCI 등재
북한의 국가 이미지 전략과 서양적 시선의 충돌 -북한 상징조형물의 원(原) 이미지와 서양인 사진 속에 표상된 이미지 비교
Geneal Topic : The Comparison of the Representations between Original Images of North Korea`s Symbolic Artifacts and Westerners` Photographies
김상미 ( Sang Mi Kim )
UCI I410-ECN-0102-2012-800-003164671

본 논문은 서양사진가의 시선으로 포착한 북한의 사진이미지와 북한의 통제 하에 공급하는 이미지 전략사이에서 일어난 문화적 시선의 차이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시대적인 변화에 따라 사진이라는 매체를 통해 북한의 이미지를 접할 수 있는 계기는 증가하였으나, 이는 북한 내부에서 스스로 검열을 통해 제시했던 이미지가 대부분이었다. 사진은 북한의 문화를 살펴보기 위한 이미지 중에서도 국가의 통제 하에 시각이미지를 활용하는 가장 뚜렷한 문화정치적 성격을 반영하고 있다. 서양의 사진가는 비밀스러운 북한 풍경과 국가통제하의 북한풍경속에서 북한의 사회적 모순과 갈등과 같은 통제 이면의 풍경을 포착하려하지만, 북한 내부에서 볼 수 있었던 그들의 행동은 철저한 계산에서 빚어진 전략적 이미지만을 접할 수 있었다. 이에 공통적으로 그들의 사진이미지는 다만 북한이 철저히 연출한 상황이고 이것을 찍은 사진가들은 어떠한 방식으로든 그 내용을 사진으로 제시하려 했다. 50년대 평양의 풍경을 다룬 마커의 사진에서는 기념물보다는 민족 중심의 문화재가 중점적으로 나타난다. 또한 빠르게 재건하는 북한사회에 대한 경이로움과 북한에 있는 문화재 및 예술(인)에 대한 사진가의 개인적 감성을 살필 수 있었는데, 여기서 북한 주민에 대해 느끼는 공통적 특성은 동일한 인간이고, 온건한 모습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60-70년대 에드워드 김의 사진에서 김일성, 김정일 부자의 그림을 담은 액자가 빛에 비춰 이미지가 일그러진 장면, 사진과 비교해 북한주민이 과도하게 작게 표현된 장면, 미국의 문물을 수용하지만 그들의 배경에 있는 두 리더의 초상화는 이질감을 극대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2000년대의 사진가들에게서도 종종 목격되는 장면이다. 선전화를 비롯한 북한의 모든 만들어낸 이미지를 다룬 사진가들은 사진 속에서 가장 극단적인 사회 이미지를 암시하기도 한다. 이때 허용되지 않은 다른 장면들을 의도적으로 프레임 안에 작은 부분으로 비춰지게 만들고 이를 통해 북한사회의 제한적 상황, 통제의 이면을 제시하려는 것이다. 즉, 2000년 이후부터 최근까지의 사진들에서는 그들이 주로 친숙하게 느꼈거나 그들에게 제공된 이미지 이외의 이미지를 담으려고 시도한 흔적을 볼 수 있다. 사진가들은 한국의 분단현실에 대해 저마다 다른 인식을 가졌으며 반세기 이상 통제된 북한에서 각기 자신의 나라인 ``서양을 인식하는 시선``을 지속적으로 염두하며 이미지를 포착하고 있다. 즉, 그들이 진정으로 궁금하고 알기 원했던 것은 ``북한이 그들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라는 그들을 대면하여 비추는 북한의 이미지전략을 비판하려는 문화적 주시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difference of cultural gaze between North Korea`s photo images that were captured by the Western photographers and the strategy of produced images by North Korea. As the era has changed, the chances are that people can actually see North Korea`s images have also increased, but almost all images were censored by North Korea in advance. The images created by North Korea reflect cultural-political aspects, and would be a good example to show nation`s application of visual images. The Western photographers tried to catch secret landscapes of North Korea and unregulated scenes to reveal the contradictions and conflicts in the society. Yet, the photographers could only encounter strategic images produced by North Korea, which were the result of a thorough calculation. Thus, the Western photographers tried to deliver North Korea`s intended direction by creating photo images. Chris Marker`s pictures about the 1950s` Pyongyang`s sceneries focus not on monuments, but on national-cultural traits. In his pictures, Marker expresses his astonishment at the rapid development of North Korean society as well as their cultural assets and artists. Besides, the pictures reveal his intention that North Koreans are people of sense as the photographer himself. In the 1960s and 1970s, Edward Kim captured that the light distorted images of Kim Il-sung and Kim Jung-il, father and son; another of his work shows North Korean people captured as extremely small figures compared to surroundings. The contrast between the adaptation of the Western culture and the leaders of Kim maximizes a sense of difference. The tendency of foreignness is often discovered from the 2000s` photographers, too. The photographers who could not but reach to the propaganda images made by North Korea made efforts to capture the two extreme figures of the society. For example, they tried to reveal the limits and control in North Korean society by including prohibited scenes in the margin of the frame. Namely, since the 2000s, the pictures have show how the Western photographers endeavored to picture the images besides the produced images by North Korea. The Western photographers have different understandings of Korea`s division situation, and at the same time, they considered how North Korea that has been fully controlled for over the half-century appreciated the West. That is, what the Western photographers really wondered was how North Korea considered them. It was a cultural gazing phenomenon that the Western photographers criticized North Korea`s censorship of visual imag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