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2.197.198
3.142.197.198
close menu
KCI 후보
최신 번역이론의 관점에서 본 1930년대 한국시 번역 -주로 시문학파의 번역을 중심으로-
Portrait of the Korean Poetry Translation in the 1930 drawn from the Contemporary Translation Theory`s Viewpoint -Focused on Simunhakpa`s Heritage-
김효중 ( Kim Hyo Jung )
배달말 33권 115-142(28pages)
UCI I410-ECN-0102-2009-710-003145270

본 연구는 아직까지 우리나라에 번역비평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점을 감안하여 1930년대의 번역 특히 시문학파의 번역을 면밀히 분석하고자 하는데에 목표가 있다. 번역비평의 기준을 최근에 번역학계에서 대두되고 있는 문화번역이론에 두고 박용철, 정지용, 김영랑이 추구한 번역방법이나 태도를 가능한 한 객관적으로 조명하고자 하였다. 위의 세 번역자들은 언어 문제에서는 역어 즉 우리말 중심의 번역을 하고 있고 비록 원작에 미약하게 반영되어 있지만 이데올로기, 역사와 관습, 종교등 언어 외적 문제를 고려하여 번역한 것으로 평가된다. 그리고 이들은 시번역에서 문제시되는 원시에서의 운율번역은 우리말의 어미 반복을 통한 각운으로써 원시의 운율을 살렸고 문장 부호와 시행을 임의로 조정하였는데 이것은 독자를 염두에 두고 번역한 결과로 보인다. 이들이 번역하는 과정에서 가능한 한 시적 분위기를 창출할 수 있는 어휘를 골라 썼고 이를 위해서 새로운 낱말을 독창적으로 만들어 쓰기도 한 것은 국어의 어휘를 풍부히 했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우리 문화를 창조하려는 의욕에 힘입은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것은 번역이 번역자의 언어능력과 창조성의 문제가 특히 중시되어야 한다는 문화번역이론의 핵심에 맞닿는 부분이다. 한편, 어떻게 번역하는가 하는 문제는 원작이 지닌 높은 문학적 가치를 역어로써 창출하는 동시에 원작의 특성을 어떻게 살리느냐가 관건임을 고려할 때 본고의 논의의 대상이 된 번역자들은 각각 번역자로서 역량을 발휘한 것으로 평가된다. 문화번역이론의 궁극목표는 텍스트의 기능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므로 모든 것이 역문 중심으로 행해진다는 관점에서 1930년대 한국 시번역은 그 방법적 측면에서 원문 중심보다는 역문 중심의 번역이고 독자를 최대한 배려하는 가운데 작업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이들 세 번역자는 1930년대 한국번역문학사의 한 획을 그은 셈이다.

As was discussed in the article, Park Yong-chul, Kim Young-rang, and Jeong Ji-yong put more weight on the target language or Korean, when translating, while considering the other issues such as ideology, history, customs, and religion. Park`s Lilke, Kim`s Yeats, and Jeong`s Blake do not present too conspicuous a difference in terms of ideology yet. Surely, though, these Korean artists saw their foreign counterparts` works of art through the glasses of Confucianism and the conventions of the ancient philosophical tradition. Their translation reflects then-Korean society to a degree. They surely had the readers of the target texts in mind. In the meantime, Jeong Ji-yong selected words carefully or even created new ones he thought compatible to the poetic atmosphere; this enriched the treasury of the Korean language to a large extent. The creative power inspired by these efforts shows the fact that translator`s linguistic competence and creativity are essential part of translation in which cultural aspects of both the source and target texts are not ignored. The recently spot-lighted theory of translation, or the cultural translation theory focuses on the functions of the texts, thus being centered on the target texts. From this viewpoint, the translation of the Korean modem poems of the 1930`s was conducted with the emphasis on the target texts and their readers. These three translators who were also a poet gave fully play to their literary abilities marking the decisive moments in translation history of modern Korea.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