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2.171.136
3.22.171.136
close menu
KCI 등재
수용이 사회불안 성향자의 자아 고갈 및 생리적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효과: 발표 상황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Acceptance on Ego Depletion and Physiological Stress Response of Socially Anxious Individuals: Focusing on a Public Speaking Situation
이승기 ( Seungkee Lee ) , 조은이 ( Eun-yi Cho ) , 김창대 ( Changdai Kim )
상담학연구 22권 1호 19-40(22pages)
UCI I410-ECN-0102-2022-300-000340902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수용이 사회불안 성향자들에게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실험 연구이다. 사회불안이 높은 대학생 연구참여자 59명이 수용 집단과 중립 통제 집단 중 하나로 무선 배정되었으며, 그 중 56명(수용 집단 27명, 통제 집단 29명)의 데이터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수용 집단은 불안 수용에 대해 설명하고 체험적 실습을 안내하는 동영상을, 통제 집단은 역사 다큐멘터리 동영상을 시청하였다. 이후 연구참여자들은 캠코더로 촬영되는 즉흥 발표를 수행하도록 요구받았다. 주된 종속변수는 두 가지로, 행동의 붕괴를 예측하는 변수인 자아 고갈과 불안의 생리적 지표인 생리적 스트레스 반응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용 집단이 통제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자아 고갈 수준을 보였다. 둘째, 생리적 스트레스 반응에서 집단 간 차이는 존재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수용이 발표상황에서 자기조절 자원의 과도한 소모를 막음으로써 불안 속에서도 과제 수행에 집중할 수 있게 하며, 잠재적으로 불안을 조절하는 내구성 있는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기타 연구의 의의와 한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i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acceptance on socially anxious individuals. 59 college students with high levels of social anxiety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acceptance group or the control group. Valid data from 56 (27 acceptance group; 29 control group) participants was analyzed. The acceptance group watched a video clip which consisted of an explanation of anxiety acceptance and actual practice, while the control group watched a history documentary. After watching the video, participants were asked to perform an impromptu speech while being recorded with a video camera. One of the major outcome variables was ego depletiona variable which can lead to behavioral disruption on a given task; the other was physiological stress responsea physiological measure of anxiety leve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cceptance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ego depletion. Second,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physiological stress respons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acceptance helps maintain concentration on a given task even when feeling anxious by preventing excessive expenditure of self-control resources, and can possibly suggest a durable anxiety-regulating strateg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서 론
방 법
결 과
논 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