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142.115
3.14.142.115
close menu
KCI 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기독교 유아교육 방향 모색
Finding the direction of Christi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post-corona era
정희정 ( Chung Hee Jung )
성경과 신학 95권 147-172(26pages)
DOI 10.17156/BT.95.06
UCI I410-ECN-0102-2021-200-001309082

본 연구의 목적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인간 발달의 가장 기초적이면서 결정적 시기인 유아기 기독교 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여 미래 사회의 구성원인 유아에 대한 기독교적 책무와 교회의 교육적 사명을 깨닫는 것이다. 국가 수준 유아교육과정 운영으로 인한 기독교 유아교육기관과 주일 중심의 교회학교에서의 공간적 · 시간적 제약에 직면한 기독교 유아교육의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하기 위한 방향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에 대한 관점 변화이다. 하나님에 의해 창조되고 하나님을 형상을 지니고 있으며 죄인이고 그리스도 안에서 새로운 피조물이 될 수 있는 존재 외에 디지털 네이티브로 서의 관점을 지녀야 한다. 둘째, 기독교 유아교육 전문가들은 온라인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해야 한다. 그리고 전문적인 연구를 통해 온라인 교육콘덴츠의 설계, 개발, 구현의 전 과정을 체계화시키고 교육콘덴츠의 질을 평가하기 위한 준거를 제공해야 한다. 셋째, 교단 및 교회는 다양한 디지털 콘덴츠 제작 및 운영 등 언택트 교육을 위한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해야 한다. 넷째, 가정예배의 회복과 함께 기독교 부모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기독교 유아교육은 가상공간에서의 온라인 교육으로 전환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교단, 교회, 기독교 대학 및 기독교 유아교육기관은 협력하여 기독교 교육공동체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Christian early childhood education, which is facing serious internal and external challenges at the time of transition to future education in the post-corona era. It is to realize the Christian responsibility and the educational mission of the church to children who are members of the future society. Directions to prepare for the post-corona era of Christian early childhood education due to spatial and temporal constraints in Christi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Sunday-centered church schools due to the operation of national-level curriculum are as follows. First, it is a change of perspective on infants. In addition to being created by understanding God, having the image of God, being a sinner, and being able to become a new creature in Christ, we must have a digital native perspective. Second, Christian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s sh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online education. In addition, through specialized research, the entire process of design,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online educational content should be systematized and criteria for evaluating the quality of educational content should be provided. Third, denominations and churches should establish an online platform for untact education, such as creating and operating various digital contents. Fourth, Along with the restoration of family worship, Christian parent education should be systematically implemented. In conclusion, future Christi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post-corona era can be converted to online education in a virtual space, and for thi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hristian education community in cooperation with denominations, churches, Christian universities, and Christi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Ⅰ. 들어가는 말
Ⅱ. 기독교 유아교육의 현주소
Ⅲ.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기독교 유아교육 구축을 위한 제언
Ⅳ. 나오는 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