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9.24.159
3.149.24.159
close menu
KCI 등재
3ㆍ1 운동에 참여한 대구ㆍ경북 여성과 이후 활동
Daegu-Gyeongbuk woman who participated in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and subsequent activities.
강윤정 ( Kang Yoon-jung )
영남학 74권 193-222(30pages)
UCI I410-ECN-0102-2021-900-001370268

비록 그 수가 많지는 않지만 대구ㆍ경북여성들은 1919년 3ㆍ1운동에 참여하였다. 도시지역인 대구에서는 여학교 단위의 3ㆍ1운동이 전개되면서, 교사와 학생들이 만세운동의 주도층으로 등장하였다. 그리고 종교적으로는 기독교계 여성들의 참여가 두드러진다는 특징을 보인다. 특히 남편이나 一家 전체가 만세시위에 참여하자, 여성들도 함께 참여한 사례도 있다. 한편 양반가의 여성으로 3ㆍ1운동에 참여한 김락과 남자현의 경우는 가족이 항일투쟁에 참여한 前史를 가지고 있다는 특징을 보였다. 또한 대구출신의 기생으로 서울에서 3ㆍ1운동에 참여한 정칠성과 같은 인물도 있다. 3ㆍ1운동에 참여한 경험은 이후 항일투쟁과 여성운동에도 영향을 주었다. 3ㆍ1운동에 참여한 남자현은 만주로 망명하여, 무장항일투쟁과 의열 투쟁을 전개하였다. 한연순과 김정희 등도 꾸준히 활동을 이어갔으며, 정칠성은 사회주의 여성해방론을 수용하고 여성운동을 이어갔다. 이들의 무대는 출신 지역과 국내를 포함하여, 만주와 일본으로 그 공간이 확대 되었다. 또한 이들의 영향으로 대구ㆍ경북지역에 여성단체들이 출현하였다. 이처럼 대구·경북지역에서도 3ㆍ1운동은 1920년대 이후 여성들의 운동에 영향을 주었다.

Daegu and Gyeongbuk women also participated in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although there were not many. In Daegu, an urban area, teachers and students emerged as the leaders of the March 1st Movement for Women. And religiously, the participation of Christian women was remarkable. In particular, women also participated in the Manse Movement, with all the husbands and families participating. In addition, Kim Rak and Nam Ja-hyeon, who participated in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as women of noble families, showed that their families had a prior history of participating in the anti-Japanese struggle. Jeong Chil-seong, a parasite from Daegu, participated in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in Seoul.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also affected women's anti-Japanese struggles and women's movements. Nam Ja-hyeon, who participated in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defected to Manchuria and continued his anti-Japanese struggle in various ways. Han Yeon-soon and Kim Jung-hee also continued their activities, while Jeong Chil-sung accepted the idea of liberating socialist women and continued his activities. As such,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has affected women's activities since the 1920s. In addition, women's groups appeared throughout North Gyeongsang Province. As such,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in Daegu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 has influenced women's movements since the 1920s.

Ⅰ. 머리말
Ⅱ. 3·1운동에 참여한 대구·경북 여성
Ⅲ. 3·1운동 이후의 활동
Ⅳ.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