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6.70.101
3.16.70.101
close menu
KCI 후보
인공지능 시대에서 키에르케고어의 윤리적 책임
Kierkegaardian Ethical Responsibility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황종환 ( Hwang Jonghwan )
DOI 10.46397/JAIH.5.5
UCI I410-ECN-0102-2021-000-001097603

인간의 인공지능 활동은 인간의 실존적 현실과 연관된다. 인공지능은 실존적 지평(地平)을 확장하는 문화적 활동이다. 실존적 지평의 확장은 삶에 깃들어 있는 절망과 불안의 체험과 함께한다. 실존적 절망과 불안은 양면(兩面)적 특성을 지닌다. 필연, 순간, 유한의 인간 영혼이 자유, 영원, 무한의 높은 실존단계로 나아갈 때 실존적 절망과 불안은 증대된다. 실존적 절망과 불안은 자아를 형성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키에르케고어(S. Kierkegaard)는 영원을 사모하는 단독자(單獨者)로서 윤리적 책임을 진지하게 주장한다. 영원을 사모하는 본성의 표현으로서 영원한 존재와 관계는 자신을 형성하는 길이다. 인공지능은 단지 정교한 기계가 아니라 인간문화의 상징적 형식이다. 인간 문화로서 인공지능은 상호작용을 통해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한다. 인공지능은 일반적 객관적 문제해결 능력을 갖지만 영혼의 활동으로서 실존하지는 않는다. 인격체로서 인간의 윤리적 역할은 인공지능 혁명의 시대에도 주어져있다. 자아(自我)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윤리적 책임은 인간만의 독특한 과제다. 윤리적 책임은 독단이나 맹목적 종교의 주장으로부터 인간을 자유롭게 한다. 자아의 형성은 단지 말을 통한 주장이 아니라 윤리적 생활의 열매를 통해 증명되어야 한다. 신뢰할 수 있는 자아는 일생의 걸쳐 표현되는 삶의 번영을 통해 드러난다.

Human AI activity is intertwined with existential morality. AI is a symbolic form of broadening human existence. The existential horizon is intimately combined with existential despair and anxiety, which have ambivalent meanings. Existential anxiety and despair increase when the human spirit moves upward to higher spheres of freedom, eternality, and infinity. S. Kierkegaard asserts that ethical accountability should be taken seriously as a single individual being. The existential ethical atmosphere is proceeding with self-formation. AI, not as a machine, but as a symbolic form of human culture, is to be communicated with others in existential interaction. Existential despair and anxiety for becoming oneself are unique phenomena among human beings. AI can solve objectified problems, but does not live as a spiritual being. New revolutions in AI’s problem-solving abilities are forcing humans to consider their role in the world, in which human morality has been outstripped by the intelligence of machines. The authentic proof for knowing oneself should be verified through the fruits of moral living, not merely verbal arguments.

1. 인공지능에 대한 실존적 해석
2. 사람의 본성(本性)과 인공지능의 윤리
3. 자아형성을 위한 실존적 절망과 불안
4. 자아의 선택과 실존적 성숙
5. 자기애(自己愛)적 사회현상과 인공지능
6.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