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8.55.14
18.218.55.14
close menu
KCI 등재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급여 수급자 가족의 시설급여 이용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he Factors Affecting Families' Preference in home benefit for Utilization of Facility Care in Long term Care Insurance
배혜원 ( Bae Hye-won )
UCI I410-ECN-0102-2021-300-000798780

목적 :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급여 수급자의 특성이 수급자 가족의 시설급여 이용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노인 및 그 가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 분석 자료는 2019년도 장기요양실태조사의 조사대상자 중 재가급여를 이용하고 있는 수급자의 가족 2,541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은 재가급여 수급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특성, 주거환경 특성에 따라 수급자 가족의 시설급여 이용의향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t-test와 X2을 시행하였다. 또한 이용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연구 결과, 수급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는 성별, 지역, 가구형태, 건강특성으로는 치매여부가 영향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환경 특성으로는 주택점유형태가 자가(OR=1.477, p<.05) 또는 전세(OR=1.764, p<.05)일 경우, 거주기간이 20년 이상일 경우(OR=.706, p<.05), 주거공간에 화장실 안전손잡이가 있을 경우(p<.05), 휠체어가 이동 가능한 현관 및 공간이 있을 경우(p<.01) 그 가족의 시설이용의향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연구결과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 돌봄 체계는 가족 또는 지역사회 내에서 돌봄 자원이 균형적으로 분배되는 방향으로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신체적 기능 외에 인지기능, 치매 등의 정신건강을 고려한 재가 영역 내 돌봄 정책이 필요하다. 셋째, 수급자의 일상생활의 편의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수급자 가족의 돌봄 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주거환경 개선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재가 중심의 돌봄 체계 구축은 수급자와 수급자의 가족 모두의 삶의 질 향상이라는 방향성에 기초해야할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and their families by identify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recipient's willingness to use the facility benefits of the beneficiary's family. Methods : The analysis data utilized the data of 2,541 family members of recipients who are using home benefits among those surveyed in the 2019 Long-Term Care Status Survey. The analysis method was conducted with t-test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the beneficiary family's intention to use facility benefits depending on the demographic, health, and residenti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f the beneficiary. In addition, a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 on the intention of use. Results : Studies have shown that dementia is an influence factor in gender, region, household type, and health characteristics of recipients as demographic.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re the owner of the hou se (OR=1.477, p<).05) or chartered (OR=1.764, p<.05) for a residence period of more than 20 years (OR=.706, p<.05), it was found that the family's willingness to use the facility was lowered when there were toilet safety handlers (p<.05) in the residential space and when there was a wheelchair movable front door and space (p<.01). Conclusion : First, in establishing a community care system, care resources will have to be distributed in a balanced manner within the family or community. Second, policies that take into account mental problems such as cognitive function and dementia are needed in addition to physical function. Third, the improvement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should be made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recipient's daily life while also easing the burden of care for the recipient's family. Above all, the establishment of a home-centered care system will be based on the direction of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both recipients and their families.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