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1.193.158
3.141.193.158
close menu
KCI 등재
대학수학능력시험 경제 응시 여부에 따른 고등학생의 특성 분석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 Students in Economics of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한경동 ( Kyungdong Hahn )
DOI 10.37060/KJEE.27.1.1
UCI I410-ECN-0102-2021-300-000902300

본 연구에서는 에듀데이터서비스시스템(EduData Service System, EDSS, http://edss.moe.go.kr)의 고등학교 알리미 정보, 고등학교별 대학수학능력시험과 관련된 학교 정보 및 학생 정보를 활용해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경제에 응시한 학생과 응시하지 않은 학생의 특성을 비교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통해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경제에 응시하는 요인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경제에 응시한 학생과 응시하지 않은 학생은 성별, 재학/재수 구분, 국어 백분위 점수, 수학 백분위 점수, 학교 유형, 설립 유형, 남녀공학 구분, 교장 공모제 실시 여부, 평준화 여부 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여학생보다는 남학생, 재학생보다는 재수생, 수학 백분위 점수가 높을수록, 국공립보다는 사립, 교장 공모제를 실시하는 학교보다 실시하지 않는 학교, 평준화 학교보다는 비평준화 학교의 학생일수록 대학수학능력시험 경제에 응시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향후 고교학점제의 도입과 정시 수능위주 대입 전형 비율의 40% 상향 조치 등으로 고등학교 경제교육에 심대한 변화가 예상되며, 이에 대한 대응 방향 모색에 앞서 다양한 경제교육 통계자료 등을 이용한 실증 연구를 통해 경제교육에 대한 보다 객관적이고 정확한 진단이 기대된다.

In this study, using school information and student information of the EduData Service System (EDSS, http://edss.moe.go.kr),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ho took economics and those who did not take it in the 2017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were compared, and the factors that took economics in CSAT were analyzed through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ender, the 3rd year students/graduates, Korean percentile score, math percentile score, school types, school establishment types, co-education classification, whether or not the principal competition system was implemented. Second, the more male students, the higher graduates, the higher the percentile score in mathematics, the more private and public schools than the national public schools, and the students in non-standardized schools than the leveling schools, the more likely they were to take economics in CSAT. In the future, significant changes will be expected in high school economic education through the introduction of a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a 40% increase in the ratio of CSAT on college entrance examinations. Prior to finding a countermeasure, more objective and accurate diagnosis of economic education is expected through empirical studies using various economic education statistics.

Ⅰ. 서론
Ⅱ. 자료 및 분석 방법
Ⅲ. 분석 결과
Ⅳ. 결론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