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97.189
3.144.97.189
close menu
KCI 등재
학생부종합전형 개선을 위한 학생부 기재 항목 중요도-신뢰도 분석
The Importance-Reliability Analysis on the Recording Items of the School Report for Reforming the Comprehensive School Report System for the University Admission
김희규 ( Kim Hee-kyu ) , 주영효 ( Joo Young Hyeo )
DOI 10.29318/KER.25.1.7
UCI I410-ECN-0102-2019-300-001392667

본 연구는 학생부종합전형 개선을 위해 학생부 기재 항목의 중요도와 신뢰도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학생부 기재 항목 분석 영역·준거 구안 및 설문조사 도구 개발 후 전국 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를 학생부 기재 항목별 중요도-신뢰도 평균과 집단 간 평균차이, 중요도-신뢰도 Matrix 결과로 구분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학생부 기재 영역별 중요도-신뢰도 및 평균 차이 분석 결과, 학생 정보 및 특성 영역의 기재 항목에 비하여 학생 체험 및 독서활동 영역의 기재 항목의 중요도와 신뢰도 값이 전반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여주고 있었으며, 중요도에 비하여 신뢰도가 낮게 나타나는 기재 항목이 10개 항목으로 나타났다. 설립유형·담임교사 경력 유무에 따라서는 전체 학생부 기재 항목에 대한 중요도-신뢰도 평균값이 국·공립학교 집단과 담임교사 “무” 집단에 비하여 사립학교 교원과 담임교사 “유” 집단이 낮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중요도-신뢰도 Matrix 분석 결과, 학생부 기재 15개 항목 가운데 “유지 영역”, “중점 개선 영역”은 7개, “낮은 순위 영역”과 “과잉노력지양 영역”은 8개가 식별되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① 학생부 기재 항목 축소, ② 학생 개별 활동을 통해 기재될 가능성이 있거나 기재 가능한 항목의 학생부종합전형 자료에서 제외, ③ 학생부 서술식 기재 항목 신뢰도 제고 방안 마련 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Importance-Reliability (IR) of the items listed in the Student School Report (SSR) in order to improve the Comprehensive School Report System for the University Admission (CSRS). For this purpose, we developed criteria for analyzing the items listed in the student records, and then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high school teachers across the country. The main results can be divided into three parts such as the IR average, the average difference between groups, and the results of the IR analysis by item listed in the SSR. First, the IR mean of the items listed in the student experience and reading activity area tended to be lower than those of the items listed in the student in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are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IR and average difference by the area listed in the SSR. Second, the average mean of IR for the items listed in the SSR of private school teachers and teachers who have homeroom teacher experience was lower than that of national and public school teachers and teachers who have no homeroom teacher experience. Finally, the result of the IR Analysis regarding the 15 items listed in the SSR showed that the number of “Keep up the Good Work” and “Concentrate Here” was 7 (46.7%), and the number of “Low Priority” and “Possible Overkill” was 8 (53.3%).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items listed in the SSR should be reduced, the methods of recording the SSR should be improved, the students' individual activities outside the school should be excluded from the SSR.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