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6.105.194
3.146.105.194
close menu
KCI 등재
가장자리와 산불피해강도가 산불피해지역 초기식생재생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Edge Area and Burn Severity on Early Vegetation Regeneration in Damaged Area
이주미 ( Joo Mee Lee ) , 원명수 ( Myoung Soo Won ) , 임주훈 ( Joo Hoon Lim ) , 이상우 ( Sang Woo Lee )
UCI I410-ECN-0102-2012-520-003216113

산불피해강도와 함께 가장자리 관련지역은 생태계회복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연구가 미미한 상황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산불피해강도와 가장자리 효과의 복합적 영향에 의한 산불 후 식생의 초기 반응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산불피해강도 즉 △NBR는 삼척지역의 산불전과 후의 인공위성 이미지를 이용하여 계산되었다. 산불피해지는 231개의 l-km2 격자 단위로 구분하였으며, 격자들은 산불피해강도와 가장자리 지역의 포 함 유무야 따라 4개의 그룹으로 재분류되었다. 4개의 그룹은 저강도 산불피해강도의 산불피해지 내부지역 (그룹 A), 강도 산불피해강도의 산불피해지 가장자리 지역(그룹 B), 고강도 산불피해장도의 산불피해지 내부지역(그룹 C), 고강도 산불피해장도의 산불피해지 가장자리 지역(그룹 D)을 포함한다. 4개 그룹 간 식생재생변화(△NDVI)는 T-test로 비교되었으며, 고강도 강도지역의 그룹 C(ANDVI= 0.047)와 D(△NDVI· 0. 059)가 저강도 연소강도지역의 그룹 A(△NDVI=0.039)와 B(△NDVI=0.036)에 비해 상당히 높은 식생재생을 보였다. 또한 동일 산불피해강도 지역에서 산불피해지 가장자리 지역이 내부지역에 비해 높은 식생재생변화가 관찰되었다. 즉 산불피해지 가장자리 지역의 그룹 B(△NDVI=0.036)와 D(△NDVI=0.059)는 산불피해지 내부지역의 그룹 A(△NDVI=0.039)와 C(△NDVI=0.047)에 비해 높은 식생재생변화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산불피해로 인한 이차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연소된 산림의 회복을 위 해 산불피해지 내부지역에 대한 적절한 회복전략이 요구된다.

The edge area with burn severity is known as significant factor that has great effects on the ecosystem recovery. However, there is little study on the edge area and its effects in the South Korea, Thu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immediate responses of vegetation following forest fires due to combined effect of burn severity and edge-interior effect. Burn Severity (BS), or ΔNBR values were computed using satellite images of pre and post-forest fire in Samcheock areas, The burn forest was classified 231 1-km2 girds and these grids were further reclassified into 4 groups by BS type (low BS and high BS areas) and forest areas (edge areas and interior areas). These four groups of grids including low BS-interior (group A), low BS-edge (group B), high BS-interior (group C) and high BS-edge (group D). Post-fire vegetation responses measured with ΔNDVI among four groups were then compared and tested by T-test. The results indicated that group C (ΔNDVI=0.047) and D (ΔNDVI = 0.059) showed considerably greater vegetation regeneration than those of low BS areas including group A (ΔNDVI = -0.039) and group B (ΔNDVI=-0.036). It was also observed that edges areas showed greater vegetation regeneration than interior areas when BS is the same. Group B (ΔNDVI = -0.036) showed greater ΔNDVI values than group A (ΔNDVI= -0.039) in low BS condition. Similar relationship is observed between group C and group D in high BS condition. Thus adequate restoration practices for burned areas might need to pay close attention to interior areas with low BS to minimize the secondary damages and to rehabilitate the burned forest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