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35.148
3.144.35.148
close menu
한국 외교 담화에서 1인칭대명사의 신분 구축 연구: 감정이입(pragmatic empathy)과 감정소외(pragmatic de empathy) 시각에서
陈娟 , 陈艳平
동양예학 42권 209-229(21pages)
UCI I410-ECN-0102-2021-100-001274743

1인칭대명사는 발화자가 직접적으로 자신을 지시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그 담화 환경에서 신분이나 권세를 민감하게 반영하여 발화자와 청자의 심리적 거리, 친밀도, 사회적 관계, 그리고 대화 상황에 따라서 다른 지칭 형식을 선택한다. 본고는 2018년 외교 브리핑 담화를 바탕으로 감정이입과 감정소외 시각에서 신분 구축의 이론적 틀 속 1인칭대명사의 사용과 분포를 분석하여 외교 답변에서 발화자가 다른 1인칭대명사를 사용할 때, 선택 뒤에 숨은 화용 의도를 탐구한다. 연구 결과에 따라, 1) 1인칭 단수 대명사보다, 대변인은 1인칭 복수 대명사를 더 많이 사용하여 사회적 신분을 구축한다. 2) 1인칭 단수 대명사 ‘저/제’는 담화에서 정확한 지칭을 할 수 있으므로 개인적 신분만 구축한다. 개인적 신분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감정소외에 관련이 있다. 3) 1인칭 복수 대명사에 있어서 ‘청자 배제형’의미를 가지는 ‘저희/우리’는 대체 지칭을 할 수 있고 정부신분이나 외교부 신분을 구축한다. 그 신분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감정이입과 감정소외라는 두 가지 수단이 다 관련된다. 일반 지칭을 했을 때 일반적으로 ‘청자 포함형’의미를 가지는 ‘우리’를 가리킨다. ‘우리’를 통해 한국 국민 신분을 구축하고 청자와 같은 신분 공동체를 구성하여 감정이입을 실시한다.

The first-person pronoun, as the speaker's self-recalling, is more vulnerable to the influence of identity and power in the context.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distance, intimacy, social relationship and dialogue situation between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the choice of the referential form is also different. This paper is based on the Korean foreign ministry's response to a reporter's question in 2018. From the perspective of pragmatic empathy and pragmatic de empathy, and under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identity construction, this paper discusses the pragmatic intention behind the choice of first-person pronouns in the process of identity construction by analyzing the use and distribution of first-person pronouns. The study found that: 1) the spokesman of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used the plural of the first person more than the use of the singular number of the first person to construct his social identity; 2)the spokesman use the first person singular to constructed his personal identity in the context based on pragmatic empathy ; 3) in the first person plural, the spokesman of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used the proxy of the first person to construct the identity of the government or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in the context, and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his identity involved two pragmatic means of pragmatic empathy and pragmatic de empathy; Based on pragmatic empathy, the speaker can also construct his Korean national identity through the first-person plural.

Ⅰ. 서론
Ⅱ. 감정이입와 감정소외
Ⅲ. 외교 담화 텍스트와연구 문제
Ⅳ. 1인칭대명사의 신분구축
Ⅴ.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